윙배너
윙배너

[뉴스그래픽]부진 빠진 공작기계…32개월 만 수주 2천억 원 하회

수주, 생산 모두 줄었지만 수출액은 늘어…인도네시아 수출 10배 상승

[뉴스그래픽]부진 빠진 공작기계…32개월 만 수주 2천억 원 하회 - 산업종합저널 동향

공작기계 시장이 글로벌 금리 인상, 유가 상승, 중국경기 둔화, 해외 수요 감소 등으로 부진에 빠졌다.

한국공작기계산업협회가 1일 발표한 ‘2023년 8월 공작기계 시장동향(이하 보고서)’에 따르면 공작기계 수주는 32개월 만에 2천억 원을 하회했다.

올해 8월 공작기계 수주는 지난달보다 18.9%, 지난해 8월보다 23.7% 감소한 1천927억 원이다. 내수수주와 수출수주 모두 줄었다. 내수수주는 지난달보다 10.4%, 수출수주는 22.5%로 크게 떨어졌다.

8월 공작기계 생산도 2천41억 원으로 지난달보다 4.5% 감소했다. 지난해 8월과 비교했을 때도 7.9% 하락한 수치다.

수주와 생산이 모두 줄었지만 수출액은 늘었다. 8월 수출액은 2억 900만 달러로 지난해 8월보다 8.2%, 지난달보다 0.3% 증가했다. 올해 1~8월로 따져도 19억1천200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7.6% 증가했다.

국가별 수출액(1~8월)은 중국(-7.1%)은 줄었으나 미국(+19.3%), 독일(+12%), 이탈리아(+13.6%)는 늘었다. 특히 인도네시아(+1천31%)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수출액이 10배 이상 상승해 공작기계 수출 비중 3위 국가로 뛰어올랐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한국, 첨단기술 국가 순위 세계 5위…바이오 부문은 10위

한국이 글로벌 첨단기술 경쟁력에서 세계 5위를 기록했다. 한국바이오협회 바이오경제연구센터는 하버드대 케네디스쿨 벨퍼센터의 최근 발표자료를 인용해 이 같이 밝혔다. 인공지능(AI), 바이오, 반도체, 우주, 양자 등 5대 기술 분야에 걸쳐 25개국의 기술력을 비교한 ‘핵심 및 신흥기술지수(

중고 거래, 소비문화로 정착… “이젠 선택이 아닌 일상”

중고 거래에 대한 소비자 인식이 빠르게 바뀌고 있다. ‘남이 쓰던 물건’이라는 편견은 사라졌고, 중고 거래는 경제적 실용성을 넘어 개성과 가치 소비를 중시하는 새로운 소비 문화로 확장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 변화가 일시적 유행이 아닌, 구조적인 소비 행태로 자리 잡고 있다고 진단한다

[뉴스그래픽] 해외 플랜트 수주, 341억 달러로 9년 만에 최대 기록

한국기업들이 지난 한 해 해외에서 플랜트를 수주한 금액은 총 340.7억 달러(약 50조 원) 규모로 나타났다. 이는 2023년 대비 12.7% 증가한 수치로, 2015년(364.7억 달러) 이후 9년 만에 최대 실적이다. 중동 지역에서의 대형 프로젝트 수주가 이번 성과의 중심에 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뉴스그래픽] 올해 글로벌 반도체 장비 시장 1천255억 달러 전망

글로벌 반도체 장비 시장이 인공지능(AI) 수요와 첨단 공정 전환에 힘입어 2025년 사상 최대 규모인 1,255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다. SEMI가 발표한 ‘2025년 상반기 반도체 장비 시장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전년 대비 7.4% 증가한 수치로 2026년에는 1,381억 달러까지 확대될

[뉴스그래픽] 국내 공작기계 시장, 회복 신호 속 누적 실적 감소

지난 9월 공작기계 시장은 중동 지역의 불안정한 정세와 미국 대선으로 인한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속에서도 미국, 인도, 멕시코 등 주요 국가로의 수출 증가로 회복세를 보였다. 3개월 만에 수출이 2억 달러를 넘어서며 시장에 긍정적인 신호를 보였다. 9월 국내 공작기계 수주는 2천349억 원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