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뉴스그래픽] 9월 업황 전월 대비 상승세… 10월까지 개선 전망

ICT부문·소재부문 100 상회 유지, 기계부문 4개월 만에 100 상회 전환

[뉴스그래픽] 9월 업황 전월 대비 상승세… 10월까지 개선 전망 - 산업종합저널 동향

전문가들이 체감하는 9월 국내 제조업 업황의 현황 PSI가 기준치를 여전히 상회하며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 달 업황에도 개선 전망은 여전하지만, 수출 회복 등에 대한 기대감은 주춤했다.

산업연구원은 최근 이같은 내용의 산업 경기 전문가 서베이 지수(PSI)를 발표했다. 지난 11일부터 15일, 218개 업종 159명의 전문가들에게 조사한 결과다. PSI는 100을 기준으로 200에 가까울수록 전월 대비 긍정(개선)응답이, 0에 가까울수록 부정 응답이 많음을 뜻한다.

이번 달 제조업 업황 현황 PSI는 105로 집계됐다. 3분기가 시작되는 7월(99)부터 8월(101)과 9월(105)까지 꾸준히 오름세다. 업종별로는 반도체(125)·철강(108)·조선(106) 등에서 100을 상회하고, 전월 대비로는 기계(100)부문 업종 중심으로 상승했다.

4분기로 들어서는 다음 달 업황 전망 PSI는 9월과 같은 109를 기록했다. ICT부문(116)에서는 5개월 연속, 소재부문(108)도 2개월 연속 100을 상회하고 있으며, 특히 기계부문(106)은 4개월 만에 100을 상회 전환했다.

6개월 연속 기준치를 상회하면서 전월 대비 개선 기대감은 여전하지만 수출(113)·내수(103)에 대한 기대는 각각 6포인트, 1포인트씩 줄며 주춤하는 모습이다. 또 세부 업종별로는 반도체 등 ICT 업종과 자동차 등 기계부문 업종 중심으로 100을 상회했으나 전월 대비로는 반도체(-13), 디스플레이(-13), 바이오·헬스(-16) 등 절반 이상의 업종에서 하락했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뉴스그래픽] AI 고도화로 대체될 직업은?

챗GPT의 충격적인 등장으로, 코로나19 발병 이후 메타버스에 꽂혀있던 우리의 시선은 어느새 AI를 향하고 있다. IT업계를 넘어 각종 산업계, 심지어 행정·법조계에까지 AI의 영향력이 미치면서 인류는 ‘AI가 우리의 삶을 어디까지 바꿀 것인가’에 대해 연일 토론을 이어가고 있다. 우리금융

[뉴스그래픽] 2023년 기계산업, 경기 침체 분위기 속 긍정적 요인 존재

올해 한국의 기계산업 경기가 안정 또는 침체 분위기가 이어지지만, 약간의 긍정적 요인과 기회가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한국기계연구원(KIMM)이 최근 발표한 ‘기계산업 2022년 성과와 2023년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 기계산업의 생산은 전년대비 3.9% 증가한 112

[뉴스그래픽]직업 전문가, “인공지능은 일자리 빼앗지 않아…변화시킬 뿐”

인공지능은 커다란 변화를 몰고 올 4차 산업혁명의 대표 기술이지만, 이를 바라보는 시선엔 두려움과 기대가 혼재돼 있다. 고된 노동으로부터 인간을 해방시켜 줄 것이라는 기대와 인공지능 로봇에게 일자리를 뺏길 것이라는 두려움이 동시에 존재하는 것이다. 직업 전문가들은 인공지능의 ‘직무

[뉴스그래픽]인공지능 생태계 독점 우려…“국내 기업 적극 지원해야”

최근 인공지능(이하 AI) 생태계가 폐쇄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에 국내 기업을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한국수출입은행이 지난달 25일 발표한 ‘2023년 인공지능 글로벌 트렌드(이하 보고서)’는 ‘최근 AI 생태계는 글로벌 빅테크 기업 중심으로 빠르게 독점화 중이며, 주류

[뉴스그래픽]SEMI, 내년 '반도체 장비' 시장 1천억 달러 돌파" 전망

글로벌 반도체 장비·재료 관련 산업 협회인 SEMI가 내년 반도체 장비 시장이 크게 반등하며 매출액 1천 억 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올해 판매가 부진했던 D램과 낸드 장비 매출이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일 전망이다. SEMI는 최근 발표에서 올해 전 세계 반도체 장비 매출액은 전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