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뉴스그래픽]SEMI, 내년 '반도체 장비' 시장 1천억 달러 돌파" 전망

올해 세계 반도체 장비 매출액 약 19%↓… 내년 '강력 반등'

[뉴스그래픽]SEMI, 내년 '반도체 장비' 시장 1천억 달러 돌파" 전망 - 산업종합저널 동향

글로벌 반도체 장비·재료 관련 산업 협회인 SEMI가 내년 반도체 장비 시장이 크게 반등하며 매출액 1천 억 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올해 판매가 부진했던 D램과 낸드 장비 매출이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일 전망이다.

SEMI는 최근 발표에서 올해 전 세계 반도체 장비 매출액은 전년대비 18.6% 감소한 874억 달러에 그칠 것으로 예상되지만 내년에는 부진을 딛고 전공정과 후공정 장비 매출액이 모두 상승해 1천 억 달러를 돌파할 것이라고 밝혔다.

공정별로 보면 웨이퍼 가공, 팹 설비, 마스크/래티클 장비 등을 포함하는 팹 장비분야가 올해 추정치인 764억 달러 대비 14.8% 증가한 878억 달러의 매출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테스트 장비와 어셈블리 및 패키징 장비 부문도 올해(64억 달러)보다 각각 7.9%, 16.4%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분야별로는 전체 웨이퍼 팹 장비 매출액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파운드리 및 로직 애플리케이션용 반도체 장비 매출액은 내년 3%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D램 장비 매출액은 메모리 및 스토리지에 대한 소비자와 기업의 수요 부진으로 올해 28% 감소한 88억 달러가 전망되지만, 내년에는 31% 반등한 116억 달러가 예상된다. 낸드 장비 매출은 올해 84억 달러로 51% 감소했지만 내년에는 133억 달러로 59% 급증할 전망이다.

SEMI의 CEO인 아짓 마노차는 "글로벌 경기 침체에도 반도체 장비 시장은 2023년 조정 후 2024년 강력한 반등을 보일 것"이라며 "특히 첨단 애플리케이션의 수요로 인해굳건한 장기 성장이 기대된다"라고 말했다.

한편, SEMI는 내년 중국이 대만을 제치고 반도체 장비 지출 1위 국가를 탈환할 것으로 내다봤다. 또 대부분 지역의 반도체 장비 매출이 성장세를 보 되찾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임지원 기자
jnews@industryjournal.co.kr


0 / 1000


많이 본 뉴스

한국, 첨단기술 국가 순위 세계 5위…바이오 부문은 10위

한국이 글로벌 첨단기술 경쟁력에서 세계 5위를 기록했다. 한국바이오협회 바이오경제연구센터는 하버드대 케네디스쿨 벨퍼센터의 최근 발표자료를 인용해 이 같이 밝혔다. 인공지능(AI), 바이오, 반도체, 우주, 양자 등 5대 기술 분야에 걸쳐 25개국의 기술력을 비교한 ‘핵심 및 신흥기술지수(

중고 거래, 소비문화로 정착… “이젠 선택이 아닌 일상”

중고 거래에 대한 소비자 인식이 빠르게 바뀌고 있다. ‘남이 쓰던 물건’이라는 편견은 사라졌고, 중고 거래는 경제적 실용성을 넘어 개성과 가치 소비를 중시하는 새로운 소비 문화로 확장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 변화가 일시적 유행이 아닌, 구조적인 소비 행태로 자리 잡고 있다고 진단한다

[뉴스그래픽] 해외 플랜트 수주, 341억 달러로 9년 만에 최대 기록

한국기업들이 지난 한 해 해외에서 플랜트를 수주한 금액은 총 340.7억 달러(약 50조 원) 규모로 나타났다. 이는 2023년 대비 12.7% 증가한 수치로, 2015년(364.7억 달러) 이후 9년 만에 최대 실적이다. 중동 지역에서의 대형 프로젝트 수주가 이번 성과의 중심에 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뉴스그래픽] 올해 글로벌 반도체 장비 시장 1천255억 달러 전망

글로벌 반도체 장비 시장이 인공지능(AI) 수요와 첨단 공정 전환에 힘입어 2025년 사상 최대 규모인 1,255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다. SEMI가 발표한 ‘2025년 상반기 반도체 장비 시장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전년 대비 7.4% 증가한 수치로 2026년에는 1,381억 달러까지 확대될

[뉴스그래픽] 국내 공작기계 시장, 회복 신호 속 누적 실적 감소

지난 9월 공작기계 시장은 중동 지역의 불안정한 정세와 미국 대선으로 인한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속에서도 미국, 인도, 멕시코 등 주요 국가로의 수출 증가로 회복세를 보였다. 3개월 만에 수출이 2억 달러를 넘어서며 시장에 긍정적인 신호를 보였다. 9월 국내 공작기계 수주는 2천349억 원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