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광화문 광장에서 만나는 AI 전시 'AI to Seoul'

광화문 광장에서 AI 활용한 미디어월 전시 볼 수 있어



생성형 AI(인공지능)가 ‘서울’을 그려냈다.

광화문 광장 해치마당에서는 1일부터 ‘AI to Seoul’ 전시가 진행되고 있다. 광장에서 광화문역까지 이어지는 벽면 LED 미디어월에서 볼 수 있는 해당 전시는 서울시가 기획하는 'Hi, Ai' 시리즈의 첫 번째 전시다.

전시는 참여작가 이창희·뮌·함지원이 서울과 연관된 삶, 감응, 미래 등 모든 연상을 투영해 창작한 3개 작품으로 이뤄졌다. ChatGPT(GPT-4)를 비롯해 미드저니, Kaiber Ai, Stable Diffusion 등의 생성형 AI가 작가들의 창작도구로 활용됐다.
광화문 광장에서 만나는 AI 전시 'AI to Seoul' - 산업종합저널 동향

광화문 광장에서 만나는 AI 전시 'AI to Seoul' - 산업종합저널 동향

광화문 광장에서 만나는 AI 전시 'AI to Seoul' - 산업종합저널 동향

한편, 서울시는 ‘AI to Seoul’을 11월 21일까지 매일 전시하고, 백남준 오마주 공모 전시와 시민 영상 공모전시, 한글 타이포 그래프 순으로 시리즈를 이어갈 계획이다.
김대은 기자
kde125@industryjournal.co.kr


0 / 1000


많이 본 뉴스

AI 시장, 2032년 1.7조 달러 규모로 급성장... 한국 기업 '기회의 문' 열리나

글로벌 데이터 폭증과 고령화 추세가 인공지능(AI) 산업 혁명을 가속화하는 가운데, 한국 기업들의 AI 시장 진출 기회가 확대되고 있다. 가트너에 따르면 세계 AI 시장 규모는 2024년 2천334억 달러에서 2032년 1조 7천716억 달러로 연평균 29.2%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생성형 A

중소기업 AI 도입 지원 본격화… 정책과제와 법안 마련 착수

중소벤처기업부(중기부)는 23일 서울 광화문 빌딩에서 중소기업의 인공지능(AI) 도입·활용을 지원하기 위한 ‘중소기업 AI 정책자문단’(이하 정책자문단) 출범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정책자문단은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AI 기술 활용 확대를 위해 정책과제를 도출하고, ‘(가칭)중소기업 A

AI 도입, 매출 4%·부가가치 7.6% 증가…생산성 개선은 '아직'

국내 기업의 인공지능(AI) 도입이 매출과 부가가치 향상에 기여했다는 실증 분석 결과가 나왔다. 그러나 도입률은 여전히 낮고, 특히 제조업 분야에서는 활용이 더딘 상황이다. 산업 전반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구조적 대응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 산하 지속성장이니

AGI, 인간 지능을 넘보다… 해외 언론이 주목한 전망과 과제

인공일반지능(AGI)의 발전 가능성이 주목받고 있다. AGI는 특정 작업에 국한되지 않고 인간과 유사한 지능을 갖춘 인공지능을 의미하며, 경제·사회 전반에 미칠 영향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해외 주요 언론과 전문가들은 AGI의 실현 가능성과 그에 따른 도전 과제, 경제적·윤리적 이슈를 다각도로

AI, 글로벌 경제의 패러다임을 바꾸다

AI 기술이 빠른 속도로 진화하면서 산업 구조와 노동시장, 각국 정책 전반에 걸쳐 근본적인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기업은 자동화를 도입해 생산성을 높이는 한편, 정부는 연구개발 확대와 제도 정비를 통해 기술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기술 혁신을 넘어 경제 질서와 사회 시스템 전반을 새롭게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