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뉴스그래픽] 서비스형 해킹 툴 이용한 공격 높아져

사이버 범죄…조직적으로 변해간다

[뉴스그래픽] 서비스형 해킹 툴 이용한 공격 높아져 - 산업종합저널 동향


보안 전문 기업 팔로알토 네트웍스(Palo Alto Networks)는 ‘2022 유닛 42 인시던트 대응 보고서(Unit 42 Incident Response Report 2022)’를 최근 발표했다.

랜섬웨어 공격으로 몸값을 요구한 금액이 가장 많은 분야는 금융과 부동산인 것으로 나타났다.

팔로알토 네트웍스(Palo Alto Networks)가 최근 발표한 ‘2022 유닛 42 인시던트 대응 보고서(Unit 42 Incident Response Report 2022)'에 따르면, 금융은 평균 800만 달러, 부동산은 520만 달러로 조사됐다.

지난 12개월 동안 가장 빈번하게 발생한 공격 유형은 전체 인시던트 대응의 70%를 차지하는 랜섬웨어(Ransomware)와 이메일을 침해하는 BEC공격(Business Email Compromise)으로 확인됐다.

랜섬웨어 공격자들이 많이 사용한 3가지의 초기 액세스 벡터는 주로 원격 데스크톱 프로토콜(RDP, Remote Desktop Protocol)에 초점을 맞춘 피싱(Phishing) 37%, 알려진 소프트웨어 취약점 악용 31%, 무차별적인 자격 증명 공격 9%로, 이러한 공격 벡터는 침입으로 의심되는 전체 근본 원인의 77% 비중을 차지했다.

보고서는 인시던트 대응 사례의 절반에 가까운 비율이 기업 웹 메일 가상 사설망(VPN: Virtual Private Network) 솔루션 또는 기타 원격 액세스 솔루션처럼 인터넷 기반 시스템에 멀티팩터 인증이 갖춰지지 않았다고 했다.

2022 인시던트 대응유형은 랜섬웨어(Ransomware)가 36%, Network Intrusion(네트워크 침입) 14%, Insider Threat(내부자 위협) 5% 정도인 것으로 집계됐다.

팔로알토 네트웍스 코리아 이희만 대표는 ‘사이버 범죄는 적은 비용으로 높은 수익을 낼 수 있어 진입 장벽이 무척 낮아졌다’라며 ‘초보 공격자들까지도 다크웹(Dark Web)에서 성행하고 있는 서비스형 해킹 툴을 이용해 공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공격자들은 고객 서비스와 만족도 조사도 해가며 조직적으로 변해가고 있는 중’이라고 말했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한국, 첨단기술 국가 순위 세계 5위…바이오 부문은 10위

한국이 글로벌 첨단기술 경쟁력에서 세계 5위를 기록했다. 한국바이오협회 바이오경제연구센터는 하버드대 케네디스쿨 벨퍼센터의 최근 발표자료를 인용해 이 같이 밝혔다. 인공지능(AI), 바이오, 반도체, 우주, 양자 등 5대 기술 분야에 걸쳐 25개국의 기술력을 비교한 ‘핵심 및 신흥기술지수(

중고 거래, 소비문화로 정착… “이젠 선택이 아닌 일상”

중고 거래에 대한 소비자 인식이 빠르게 바뀌고 있다. ‘남이 쓰던 물건’이라는 편견은 사라졌고, 중고 거래는 경제적 실용성을 넘어 개성과 가치 소비를 중시하는 새로운 소비 문화로 확장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 변화가 일시적 유행이 아닌, 구조적인 소비 행태로 자리 잡고 있다고 진단한다

[뉴스그래픽] 해외 플랜트 수주, 341억 달러로 9년 만에 최대 기록

한국기업들이 지난 한 해 해외에서 플랜트를 수주한 금액은 총 340.7억 달러(약 50조 원) 규모로 나타났다. 이는 2023년 대비 12.7% 증가한 수치로, 2015년(364.7억 달러) 이후 9년 만에 최대 실적이다. 중동 지역에서의 대형 프로젝트 수주가 이번 성과의 중심에 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뉴스그래픽] 올해 글로벌 반도체 장비 시장 1천255억 달러 전망

글로벌 반도체 장비 시장이 인공지능(AI) 수요와 첨단 공정 전환에 힘입어 2025년 사상 최대 규모인 1,255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다. SEMI가 발표한 ‘2025년 상반기 반도체 장비 시장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전년 대비 7.4% 증가한 수치로 2026년에는 1,381억 달러까지 확대될

[뉴스그래픽] 국내 공작기계 시장, 회복 신호 속 누적 실적 감소

지난 9월 공작기계 시장은 중동 지역의 불안정한 정세와 미국 대선으로 인한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속에서도 미국, 인도, 멕시코 등 주요 국가로의 수출 증가로 회복세를 보였다. 3개월 만에 수출이 2억 달러를 넘어서며 시장에 긍정적인 신호를 보였다. 9월 국내 공작기계 수주는 2천349억 원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