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중견기업 절반, “올해 투자 유지, 확대”

투자 저해 요인 1순위 ‘자금 조달 애로’ 꼽혀

중견기업 절반, “올해 투자 유지, 확대” - 산업종합저널 동향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이 심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도 절반에 가까운 48.5%의 중견기업이 올해에도 국내 투자를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중견기업연합회가 발표한 ‘2024년 중견기업 투자 전망 조사 결과’에서 이같이 확인됐다.

중견기업연합회는 “국내 투자 계획을 밝힌 이들 중견기업의 91.1%가 투자 규모를 현 수준으로 유지하거나 확대하겠다고 응답했다”라고 밝혔다.

특히 투자를 확대하겠다고 응답한 중견기업은 43.6%로 지난해 대비 28.1%p 상승했는데, ‘기존 산업 분야 사업 확장(64.1%)’과 ‘노후 설비 개선·교체(32.1%)’를 주된 이유로 꼽았다.

‘신사업 진출(25.6%)’, ‘ESG 대응(6.4%)’, ‘R&D(6.4%)‘, ’디지털 전환(3.8%)’ 등 신성장 동력 발굴을 위한 혁신 투자 수요가 뒤를 이었다.

중견기업들은 '기존 설비 개·보수(55.9%)', '신규 설비 도입(44.7%)', 'R&D(25.7%)', ‘인력 개발(11.2%)’, ‘친환경(11.2%)’ 분야의 투자 확대를 전망했다.

'조사'는 지난해 12월 19일부터 올해 1월 7일까지 중견기업 369개 사를 대상으로 진행했다.

중견기업의 16.3%는 ’해외 수요 증가(40.0%)‘, ’비용 절감(35.0%)‘, ‘글로벌 시장 동향 파악(35.0%)’, ’대외협력 네트워크 강화(26.7%)‘ 등을 위해 올해 해외에 투자할 계획이 있다고 응답했다.

중견련 관계자는 “글로벌 진출 측면에서 중견기업의 해외 투자 확대는 바람직하지만, 올해 해외 진출 계획이 있다고 밝힌 중견기업 중 최근 3년 내 해외 투자를 국내 투자로 변경한 사례가 10%에 불과한 조사 결과에서 보듯, 국내 산업 기반의 안정성을 약화시킬 소지가 있는 것도 사실”이라면서, “중견기업의 글로벌 시장 확대를 적극 지원하는 한편으로, ’투자·R&D 등 세제 지원(66.7%)‘과 ’인력 개발(33.3%)‘, ’정부-기업간 소통 강화(33.3%)‘ 등 해외 투자 기업의 복귀를 위한 정책도 지속적으로 강화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자금 조달 애로(58.7%)’ 등에 따라 내년 이후로 투자 계획을 순연한 중견기업은 41.7%로 확인됐다.

중견기업인들은 ‘인력난(29.1%)’, ‘인·허가 등 복잡한 행정절차(20.7%)’와 더불어, ‘노동·고용 규제(19.0%)’, ‘환경 규제(17.9%)’, ‘공장 신·증설 관련 입지 규제(15.6%)’ 등을 투자 저해 요인으로 꼽았다.

투자 활성화를 위해 가장 필요한 정부 지원 정책으로는 ‘금융 지원 확대(55.3%)’가, 이밖에도 ‘투자·R&D 등 세제지원 강화(50.8%)’, ’물가 안정 및 내수시장 활성화(36.3%)‘, ’금리 인상 속도 조절(27.4%)‘, ’인력 수급 해소(23.5%)‘ 등이 뒤를 이었다.

이호준 중견련 상근부회장은 “중견기업의 높은 경제 기여도를 감안할 때 급격한 대내외 경제 환경 변화 속에서도 절반에 가까운 중견기업이 국내 투자를 이어가겠다고 응답한 것은 매우 의미있는 신호”라면서, “경제의 ‘허리’인 중견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중견기업의 투자를 저해하는 ‘킬러 규제’, ‘그림자 규제’ 등을 발굴·개선하고, 정책금융·보증 규모 확대 등 중견기업 자금 조달 애로를 완화할 적극적인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이재명 대통령, 첫 내각 인선 발표…“위기 극복과 국민통합 이끌 적임자들”

이재명 대통령이 4일 제21대 대통령 취임 직후, 새 정부를 이끌 첫 내각 인선을 직접 발표했다. 이 대통령은 “즉시 업무가 가능한 능력과 전문성, 성과를 낼 수 있는 정치력과 소통 능력을 갖춘 인사를 중용했다”며 각 인사의 배경과 기대를 상세히 설명했다. 김민석 국회의원, 국무총리

정부, 전기차 충전 인프라 확대… 3월부터 본격 지원

환경부는 26일 브리핑을 통해 2025년 전기차 충전시설 지원 사업을 3월 초부터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올해 충전시설 설치 지원 예산은 전년 대비 43% 증가한 6천187억 원으로, 급속충전기 보급에 3,757억 원, 스마트제어 완속충전기 확대에 2천430억 원이 각각 투입된다. 류필무

신용취약 소상공인 대상 정책자금 지원, 최대 3천만 원 직접대출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하 소진공)은 지난 5일 발표된 ‘소상공인·자영업자 맞춤형 지원 강화방안’의 일환으로 ‘저신용 소상공인 자금’을 6일부터 접수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저신용 소상공인 자금’은 민간 금융기관을 통한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신용취약

쓸수록 돌려받는 ‘상생페이백’ 9월 15일 신청 시작

정부가 다음달 15일부터 새로운 소비지원 정책인 ‘상생페이백’을 시행한다. 만 19세 이상 국민이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으며, 2024년에 카드 사용 실적만 있으면 참여할 수 있다. 이번 제도는 국민의 체감 혜택과 소상공인 매출 증대를 동시에 겨냥한 소비 촉진책으로 마련됐다. 상생페이백

2024년 글로벌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 감소… 하반기 회복 전망

글로벌 전자 산업 공급망을 대표하는 산업 협회인 SEMI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전 세계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은 전년 대비 2.7% 감소한 122억 6,600만 in²을 기록했다. 매출은 6.5% 줄어든 115억 달러로 집계됐다. SEMI는 반도체 업계의 재고 조정이 지속되면서 웨이퍼 출하량과 매출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