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원전 사고와 근로자 보호 대비한 휴대용 방사선 감지기

실시간 측정 및 시각화로 방사선 노출량 확인 가능

원전 사고와 근로자 보호 대비한 휴대용 방사선 감지기 - 산업종합저널 전시회
휴대용 방사선 감지기와 연동된 스마트폰 속 방사선 측정 데이터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2023원전생태계박람회’에 휴대용 방사선 감지기가 나왔다.

해당 제품 자체만으로는 실시간으로 측정한 감마선을 디스플레이로 볼 수 있지만, 스마트폰과 블루투스 등으로 연동하면 시각화 한 방사선 수치를 확인할 수 있다.

또, 미세먼지, 초미세먼지와 더불어 시간대별 실시간 방사선량도 확인할 수 있다. 부스에서 만난 드림즈 방민혁 과장은 “이를 이용해 원전 작업 근로자가 암과 같은 질병을 앓게 됐을 시 증거로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개발 계기에 대해 “원전 해체 작업 시 대부분의 근로자들은 방호복 등의 안전장비를 착용하지만, 폐기물을 반출하는 등의 사각지대에 놓은 근로자들도 있다”라며 “방사선 투과 수준을 검증받은 마스크를 개발한 데 이어 해당 감지기를 통해 안전을 보장하고 향후 질병 발생 시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게 하려 한다”라고 밝혔다.
원전 사고와 근로자 보호 대비한 휴대용 방사선 감지기 - 산업종합저널 전시회
방사선 마스크

방과장은 더불어 “후쿠시마·체르노빌 원전사고 당시 보다, 고리원자력발전소 근방의 부산광역시 시민들이 훨씬 많이 거주하고 있다”라며 “지자체에 방사선 감지기를 설치해 사고에 빠르게 대비하고, 재난 물품에도 방사선을 막을 수 있는 마스크 등의 보호구가 들어가야 한다”라고 견해를 전했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열분해 기술로 폐타이어 재활용

기후 위기 대응 차원에서 폐기물 자원을 재활용하는 순환자원에 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10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2022 대한민국 ESG 친환경대전'에 참가한 친환경 소재기업 (주)엘디카본은 폐타이어를 수집해 재활용하는 과정을 소개했다. 이 회사는 폐타이어나 기타 고무 제품을 수거

[DTon] 고소 작업 시, 추락 방지 위한 ‘발끝막이판’

건물의 골조를 세우기 위해서는 거푸집을 활용한다. 그중에서도 갱폼(Gang Form)은 건축 구조물의 시공성을 높이기 위해 각 부재들을 건물의 형태대로 제작한 거푸집이다. 갱폼이 위치한 층수에서 슬래브 타설을 하는 콘크리트 작업자와 견출 작업자들은 갱폼에 구축된 작업발판을 이용해 이동하기

[DTon] 풀림 방지 강화한 원터치 샤클로 중량물 낙하 예방

건설현장을 비롯한 다양한 산업 현장에는 중량물을 운반하기 위한 중장비 및 타워크레인이 존재한다. 높은 곳에 상주하는 타워크레인 기사는 현장 내 작업자와 무전기를 통해 수신하며 자재를 다른 장소로 옮긴다. 중량물에 결속하는 장비는 슬링이라는 인양 로프와 이를 걸어주는 샤클이 사용된다.

[DTon] 건설안전, 현장의 목소리 반영해 개선

경기 고양시 KINTEX(킨텍스)에서 ‘2022 한국건설안전박람회’가 19일부터 21일까지 사흘 간 진행했다. 이번 행사에 참여한 이동식 CCTV 제조 및 판매, 관리 업체 (주)지에스아이엘(GSIL)은 건설 현장의 애로사항을 고려해 수정하는 과정을 통해 건설 현장의 안전성을 높이는 제품을 선보였다.

기술은 '가치중립적’… 생성형 AI 악용 줄이려면?

‘챗GPT’와 같은 대화형 인공지능(AI) 및 생성형 AI 기술이 사람들에게 익숙하게 자리 잡아가고 있지만 그 이면의 사회적 문제 역시 불거지고 있다. 텍스트와 이미지, 동영상 등을 생성해 내는 생성형 AI는 활용과 규제에 대한 논의보다 앞서 대중에 공개되며 기능의 악용, 저작권 문제, 무차별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