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 위기가 가속화되며 전 세계 150개 국가가 탄소중립 목표를 설정했다. 이에 따라 산업계에서도 온실가스 감축이 주요 화두로 떠올랐고, 국내에서도 대기업 중심으로 탄소중립 비전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 기업의 비재무공시는 글로벌 수준에 미치지 못해 탄소중립 실천이 부족한 것으로 지적됐다.
김성주 의원(더불어민주당, ESG 포럼 대표), 장혜영 의원(정의당), 국제환경단체 그린피스, 녹색전환연구소,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은 18일 국회의원회관에서 '기업의 탄소중립을 위한 비재무공시 현황과 개선방안' 토론회를 열고 탄소중립을 위한 국내 기업의 적절한 대응을 촉구했다.
온실가스 다배출 기업 비재무공시 '매우 빈약'… ESG 정보 공개 강화 필요
녹색전환연구소 배보람 연구원은 기후관련 재무정보공개 협의체(Task Force on Climate-Related Financial Disclosure, 이하 TCFD) 권고안의 지표를 바탕으로 녹색전환연구소가 수립한 세부지표를 통해 국내 온실가스 다배출 50개 기업 중 32개 기업의 비재무공시를 분석하고 해외 동종 기업과 비교 분석했다.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확인할 수 없는 14개 기업, 그룹이 여러 계열사를 포함해 하나의 보고서를 발간한 4개 기업은 제외됐다.
정유업은 전반적인 탄소중립 목표가 부재하고, 발전업은 기후변화 관련 위험과 식별이 미흡하며, 전자전기업은 뒤늦은 탄소중립 선언과 '목표 및 지표'의 낮은 점수가 지적됐다.
제철업은 구체적인 기후위기 관리와 감독 부족으로 인한 거버넌스 지표 점수가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시멘트업은 모든 지표에서 꼴찌를 하며 기후위기와 탄소중립에 무대응 수준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석유화학업종은 전반적인 점수가 높고 비재무 공시의 기본적 내용은 갖췄지만, 기후위기 영향과 재무영향 파악을 위한 더욱 구체적인 내용을 제시하도록 요청됐다.
배보람 연구원은 "국내 온실가스 다배출 기업의 비재무공시 평균점수는 38점에 그쳐 온실가스 다배출 기업의 비재무공시의 구체성이 낮다"라며 "현재까지도 탄소중립이 기업의 경영목표로 내재화 되지 않거나, 기후관련 위험과 기회에 대한 분석이 지나치게 개괄적인 수준에 그치고 있다는 점이 한계"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는 특히 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공시 제도가 강화하고 있는 최근 흐름과 상충하고 있다"라며 "국내 기업의 비재무공시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매출 규모 및 상장 여부만이 아닌 온실가스 다배출 기업의 실질적 환경 영향을 고려한 기후정보 공시 의무화가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기후변화 대응, 결국 '돈'인데… 투자자 움직일 정보 부족해
신지윤 그린피스 기후에너지 전문위원은 "기후 위기에 대한 행동 변화를 이끌어 내려면 결국 돈이 필요하다. 파리기후변화협약 이후 금융부문 변화를 강조하고 있다"라며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금융의 역할을 강조하는 한편, "금융 자본을 움직이려면 정보 공개가 우선 돼야 한다"라고 역설했다.
신 전문위원은 챗GPT의 답변 결과를 소개하며 기후정보 공개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투자자는 정보에 입각해 투자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기업은 기후 위험을 식별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정부는 효과적인 기후 정책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답변이 나왔다.
그러면서 신 전문위원은 미국, 유럽연합, 그리고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nternational Sustainability Standards Board, 이하 ISSB)의 지속가능 공시 의무화 일정이 속속 확정되고 있고, 기업의 기후위기 대응에 대한 책임있는 자세가 국제적으로 요구되고 있어 한국 기업들의 적절한 대응이 시급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한국 기업들의 ESG 정보공개에 "읽을 게 없는 수준"이라 평가하며 "지속가능경영보고서에 편중돼 있고, 사업보고서에서 얻을 수 있는 ESG정보 중 기후 정보는 매우 빈약하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정보공개 기준의 글로벌 정합성 유지가 진정한 자본시장 선진화 방안"이라며 "한국도 글로벌 기준에 부합하는 ESG 공시 의무화 제도를 조속히 확정할 필요가 있으며 산업 부문에 대한 한국의 탄소중립정책도 강화돼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또 "한국의 경우 낮은 산업감축 목표와 탄소배출권 가격 등 부족한 기후 정책때문에 기업의 위험성이 공시를 통해선 과소평가 될 여지가 크다"라며 녹색 금융의 역할을 재정립하는 한편 증권업 ESG 활성화 방안을 제고할 것을 제언했다.
저작권자(c)산업종합저널.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