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적신호' 켠 우리 기업 건강상태... 이자비용만 늘어

"팬데믹 시기보다 더 떨어진 기업활력 반전시키려면 선제적 통화정책 필요"

한국 기업들의 수익성 지표에 경고등이 켜졌다. 영업이익은 전년대비 3분의 1 줄었지만 이자비용은 오히려 늘어 기업의 부채상환능력을 나타내는 이자보상배율도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다. 기업의 안정성, 활동성 지표도 코로나19가 한창이던 2020~2021년보다 악화됐다.

대한상공회의소(이하 대한상의)는 최근 한국평가데이터(KoDATA)와 함께 1천612개 상장사(대기업 159개, 중견기업 774개, 중소기업 679개)의 지난해 말까지의 재무상황을 각각 ▲성장성 ▲수익성 ▲안정성 ▲활동성 등 4개 부문으로 나눠 분석했다.

'적신호' 켠 우리 기업 건강상태... 이자비용만 늘어 - 산업종합저널 동향

이에 따르면 국내 상장기업들의 지난해 매출액은 전년대비 12.1% 증가한 반면 영업이익은 34.2% 감소했다. 코로나 기간인 2020~2021년 영업이익이 22.7%, 60.8% 성장한 것과 대조된다. 특히 대기업의 낙폭이 컸다. 전년 동기대비 대기업의 영업이익증감율은 -44.1%를 기록했고 중견기업 9.2%, 중소기업은 –3.1%로 집계됐다.

대한상의는 "지난해 4월 이후 무역수지가 15개월 연속적자를 기록하는 등 수출이 매우 좋지 않은 상황에서 수출의 최전선에 있는 대기업들을 중심으로 기업들의 영업이익이 크게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라고 분석했다.

기업이 부담해야 할 이자비용은 전년대비 31.9% 증가했다. 이는 지난해 급격히 오른 금리 영향으로 해석된다. 지난해 기업에 발생한 이자비용은 14조2천억원이다. 분기별로는 1분기 2조6천억원, 2분기 2조9000억원, 3분기 3조4000억원, 4분기 5조2000억원으로 점차 증가하며 기준금리의 상승추세와 유사한 흐름을 보인다. 이에 기업이 벌어들인 영업이익으로 이자를 갚을 수 있는 능력을 나타내는 이자보상배율은 전년대비(10.1배) 절반 수준인 5.1배로 나왔다.

기업의 총자본에서 부채를 제외한 자기자본의 비중을 나타내는 자기자본비율은 전년대비 1.5%p 떨어진 55.6%를 기록했다. 이는 최근 4년 중 가장 낮은 수치다.

기업의 활동성을 측정하는 지표도 하락했다. 총자산에서 재고자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7.7%로 최근 4년 중 가장 높은 수준이다. 재고자산이 매출로 이어지는 속도를 나타내는 지표인 재고자산회전율도 10.6회로 전년보다 1.1회 하락했다.

재고자산의 비중이 높고 재고자산회전율이 낮을수록 기업의 활동성은 약화된다. 이를 감안하면, 지난해 우리기업은 전국적으로 자가격리에 들어간 2020년, 2021년보다 더욱 위축됐다고 해석할 수 있다.

대한상공회의소 경제정책팀 백지훈 과장은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현재 기업 활력이 너무 많이 떨어져 있다. 수출 시장도 막혀 있고 내수로 버텨왔지만 불안한 상황"이라며 "어떻게든 기업 활력을 먼저 회복시키기 위해 우선은 높은 수준의 금리를 좀 낮출 필요가 있다고 본다"라고 했다.

금리 인하가 기업에 바로 영향을 미치진 않겠지만 내수 구매력이 높아질 수 있고 기업들에게 '시그널'을 줄 수 있을 것이라는 게 그의 설명이다. 백지훈 과장은 "늘어난 통화량, 인플레이션 위협에서 조금 벗어나 정상 궤도에 진입하고 있고 다시 한 번 국가 경제에 활력을 높여야 한다는 국가 방향성을 보여주는 것"이라 덧붙였다.

이어 "공급망 변화, 우크라이나 전쟁 등 대외적 요인들은 우리가 통제할 수 없는 요소들이다. 수출 기업에 대한 여러 지원 사업 및 인센티브들의 구상과 운영도 이뤄지고 있긴 하나 효과를 보기엔 정책 시차가 존재한다"라며 "반면 통화 정책은 국내 정책으로 통제할 수 있는 부분이고 올리거나, 낮추거나, 유지 시키면서 변화를 줄 수 있다"라고 말했다.
임지원 기자
jnews@industryjournal.co.kr


0 / 1000


많이 본 뉴스

이재명 대통령, 첫 내각 인선 발표…“위기 극복과 국민통합 이끌 적임자들”

이재명 대통령이 4일 제21대 대통령 취임 직후, 새 정부를 이끌 첫 내각 인선을 직접 발표했다. 이 대통령은 “즉시 업무가 가능한 능력과 전문성, 성과를 낼 수 있는 정치력과 소통 능력을 갖춘 인사를 중용했다”며 각 인사의 배경과 기대를 상세히 설명했다. 김민석 국회의원, 국무총리

정부, 전기차 충전 인프라 확대… 3월부터 본격 지원

환경부는 26일 브리핑을 통해 2025년 전기차 충전시설 지원 사업을 3월 초부터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올해 충전시설 설치 지원 예산은 전년 대비 43% 증가한 6천187억 원으로, 급속충전기 보급에 3,757억 원, 스마트제어 완속충전기 확대에 2천430억 원이 각각 투입된다. 류필무

신용취약 소상공인 대상 정책자금 지원, 최대 3천만 원 직접대출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하 소진공)은 지난 5일 발표된 ‘소상공인·자영업자 맞춤형 지원 강화방안’의 일환으로 ‘저신용 소상공인 자금’을 6일부터 접수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저신용 소상공인 자금’은 민간 금융기관을 통한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신용취약

쓸수록 돌려받는 ‘상생페이백’ 9월 15일 신청 시작

정부가 다음달 15일부터 새로운 소비지원 정책인 ‘상생페이백’을 시행한다. 만 19세 이상 국민이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으며, 2024년에 카드 사용 실적만 있으면 참여할 수 있다. 이번 제도는 국민의 체감 혜택과 소상공인 매출 증대를 동시에 겨냥한 소비 촉진책으로 마련됐다. 상생페이백

2024년 글로벌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 감소… 하반기 회복 전망

글로벌 전자 산업 공급망을 대표하는 산업 협회인 SEMI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전 세계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은 전년 대비 2.7% 감소한 122억 6,600만 in²을 기록했다. 매출은 6.5% 줄어든 115억 달러로 집계됐다. SEMI는 반도체 업계의 재고 조정이 지속되면서 웨이퍼 출하량과 매출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