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기업들의 수익성 지표에 경고등이 켜졌다. 영업이익은 전년대비 3분의 1 줄었지만 이자비용은 오히려 늘어 기업의 부채상환능력을 나타내는 이자보상배율도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다. 기업의 안정성, 활동성 지표도 코로나19가 한창이던 2020~2021년보다 악화됐다.
대한상공회의소(이하 대한상의)는 최근 한국평가데이터(KoDATA)와 함께 1천612개 상장사(대기업 159개, 중견기업 774개, 중소기업 679개)의 지난해 말까지의 재무상황을 각각 ▲성장성 ▲수익성 ▲안정성 ▲활동성 등 4개 부문으로 나눠 분석했다.
이에 따르면 국내 상장기업들의 지난해 매출액은 전년대비 12.1% 증가한 반면 영업이익은 34.2% 감소했다. 코로나 기간인 2020~2021년 영업이익이 22.7%, 60.8% 성장한 것과 대조된다. 특히 대기업의 낙폭이 컸다. 전년 동기대비 대기업의 영업이익증감율은 -44.1%를 기록했고 중견기업 9.2%, 중소기업은 –3.1%로 집계됐다.
대한상의는 "지난해 4월 이후 무역수지가 15개월 연속적자를 기록하는 등 수출이 매우 좋지 않은 상황에서 수출의 최전선에 있는 대기업들을 중심으로 기업들의 영업이익이 크게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라고 분석했다.
기업이 부담해야 할 이자비용은 전년대비 31.9% 증가했다. 이는 지난해 급격히 오른 금리 영향으로 해석된다. 지난해 기업에 발생한 이자비용은 14조2천억원이다. 분기별로는 1분기 2조6천억원, 2분기 2조9000억원, 3분기 3조4000억원, 4분기 5조2000억원으로 점차 증가하며 기준금리의 상승추세와 유사한 흐름을 보인다. 이에 기업이 벌어들인 영업이익으로 이자를 갚을 수 있는 능력을 나타내는 이자보상배율은 전년대비(10.1배) 절반 수준인 5.1배로 나왔다.
기업의 총자본에서 부채를 제외한 자기자본의 비중을 나타내는 자기자본비율은 전년대비 1.5%p 떨어진 55.6%를 기록했다. 이는 최근 4년 중 가장 낮은 수치다.
기업의 활동성을 측정하는 지표도 하락했다. 총자산에서 재고자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7.7%로 최근 4년 중 가장 높은 수준이다. 재고자산이 매출로 이어지는 속도를 나타내는 지표인 재고자산회전율도 10.6회로 전년보다 1.1회 하락했다.
재고자산의 비중이 높고 재고자산회전율이 낮을수록 기업의 활동성은 약화된다. 이를 감안하면, 지난해 우리기업은 전국적으로 자가격리에 들어간 2020년, 2021년보다 더욱 위축됐다고 해석할 수 있다.
대한상공회의소 경제정책팀 백지훈 과장은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현재 기업 활력이 너무 많이 떨어져 있다. 수출 시장도 막혀 있고 내수로 버텨왔지만 불안한 상황"이라며 "어떻게든 기업 활력을 먼저 회복시키기 위해 우선은 높은 수준의 금리를 좀 낮출 필요가 있다고 본다"라고 했다.
금리 인하가 기업에 바로 영향을 미치진 않겠지만 내수 구매력이 높아질 수 있고 기업들에게 '시그널'을 줄 수 있을 것이라는 게 그의 설명이다. 백지훈 과장은 "늘어난 통화량, 인플레이션 위협에서 조금 벗어나 정상 궤도에 진입하고 있고 다시 한 번 국가 경제에 활력을 높여야 한다는 국가 방향성을 보여주는 것"이라 덧붙였다.
이어 "공급망 변화, 우크라이나 전쟁 등 대외적 요인들은 우리가 통제할 수 없는 요소들이다. 수출 기업에 대한 여러 지원 사업 및 인센티브들의 구상과 운영도 이뤄지고 있긴 하나 효과를 보기엔 정책 시차가 존재한다"라며 "반면 통화 정책은 국내 정책으로 통제할 수 있는 부분이고 올리거나, 낮추거나, 유지 시키면서 변화를 줄 수 있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c)산업종합저널.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