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배터리업계 각축장, ‘인터배터리 2023’ 개막

'INTER BATTERY 2023', 서울 코엑스서 15일 개최

국내외 배터리업계 각축장, ‘인터배터리 2023’ 개막 - 산업종합저널 전시회

배터리 기술의 최신 제품과 미래 제품을 전시하는 ‘인터배터리 2023(INTER BATTERY 2023)’(이하 전시회)이 서울 코엑스에서 15일 막을 올렸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배터리산업협회, 코엑스, 코트라가 주관한 이번 전시회는 477개사가 1천400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지난해 대비 참여기업은 2배 이상 늘었고, 사전 등록자도 9천여 명에서 3만 4천여 명으로 3배 이상 증가했다.

'모든 것과 연결된 배터리(Battery Connecting To ALL)'을 주제로 한 이번 행사는 소재·부품·제조업체 뿐 아니라 배터리 수요 어플리케이션 업체, 배터리 재사용·재활용 업체 등 배터리 산업의 전 주기를 살펴볼 수 있다.

또한, 글로벌 시장 동향 및 전망과 기술트렌드를 들을 수 있는 ‘The Battery Conference', 배터리 시장 인력문제 해결을 위한 ’배터리 잡 페어‘가 동시 진행되며, ’글로벌 비즈니스 상담 부스‘를 운영해 국내 기업과 해외 기업의 네트워킹 자리를 마련했다.
국내외 배터리업계 각축장, ‘인터배터리 2023’ 개막 - 산업종합저널 전시회
장영진 산업통상자원부 1차관

전시회에 참여한 장영진 산업통상자원부 1차관은 축사를 통해 “배터리 산업은 한국이 전 세계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면서, “오랜 기간 기술 개발에 매진해온 배터리 업계의 노력을 통해 가능했다”고 감사를 전했다.

또한, “배터리 산업에 총 5.3조 원의 정책 금융을 투자하고, 초격차 기술 선점을 위한 기술 개발에도 많은 지원이 이루어질 것”이라면서, “2023년까지 한국 배터리 산업을 세계 1위로 도약시키겠다”고 말했다.

이어, “IRA로 대표되는 미국의 정책을 기회로 활용해 한국 배터리 업계가 미국 시장에서 90% 이상을 수주했다”면서, “유럽의 배터리 관련 입법에 대해서도 민관 합동으로 적극 대응해 기회로 만들어 나가겠다”고 설명했다.

장영진 1차관은 “세계적 배터리 전시회로 거듭난 인터배터리가 배터리 업계의 CES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KIMEX 2022] 새로운 기술 탑재한 계측기 쏟아진다

전자 및 통신 분야를 비롯해 산업 전반이 빠르게 급변하면서 계측시스템 분야도 새로운 기술을 적용한 계측기들이 쏟아지고 있다. 수 많은 계측기들 중 사용 목적에 적당한 계측기를 선택하는 일은 쉽지 않다. 사용자의 작은 실수나 사용 여건에 따라 장비 이상이 발생하면 난감하다. 무엇보다

JIMTOF 2022, 일본 도쿄국제전시장서 오는 11월 개최

일본공작기계공업회(JMTBA)가 24일 일산 킨텍스(KINTEX) 제1전시장 세미나룸에서 일본 도쿄에서 열리는 짐토프 2022(JIMTOF 2022, 짐토프) 개요 설명을 위한 기자간담회를 열었다. 일본 공작기계 관련 전시회인 짐토프는 일본 도쿄 빅사이트(도쿄국제전시장)에서 개최하며, 서 전시동, 동 전시동을 비

AI 고도화에 악용사례 속출…"제도적 방안 마련해야"

인공지능(AI) 기술을 악용한 범죄 사례가 늘면서, 이를 올바르게 활용하기 위해 제도·기술적 대응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는 지난달 25일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인공지능의 악용 사례, 딥페이크 기술과 과제’ 보고서를 내놓았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

탈탄소 정책에 높아지는 탄소장벽… CBAM·GSSA 전망과 과제

유럽연합(EU)과 미국의 탈탄소 정책으로 탄소 무역장벽이 점차 높아지는 가운데, 국내 기업을 보호하기 위한 장기적 관점의 정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6일 오후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는 ‘글로벌 탄소 무역장벽 현황과 과제’를 주제로 세미나가 열렸다. 이날 ‘글로벌 탄소 무

고용부, 2022년 상반기 협약임금 인상률 5.3%로 잠정 집계

올해 상반기 협약임금 인상률이 5.3%로 나타났다. 최근 고용노동부는 2022년 1월부터 6월까지 상반기 임금결정 현황조사에 대한 잠정 결과를 발표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르면, 이번 발표치는 100인 이상 사업체 총 1만723개소 중 33.7%인 3천613개 사업체에 대한 잠정치다. 고용노동부가 올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