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중국 진출 기업, 51.9% 이익 감소

진출 기업 절반 정도가 매출·이익 감소…가동률 60% 이하

중국 진출 기업, 51.9% 이익 감소 - 산업종합저널 동향


중국의 코로나19 봉쇄조치와 세계 경기둔화로 현지에 진출한 한국 기업의 경영 상황이 전보다 나빠진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연구원은 4일 '중국진출기업 경영환경 실태조사'를 발표했다. 대한상공회의소 북경사무소와 중국한국상회와 공동으로 실시한 이 설문은 지난해 9~10월까지 중국 진출 기업 406곳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조사 결과, 중국 진출 기업 가운데 절반 정도는 매출 또는 이익이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조사와 견줬을 때 상황은 더 나빠졌다.

2020년 조사에서 전년 대비 매출이 감소했다는 응답한 기업은 27.1%였으나 2021년에는 45.1%로 올랐다. 이익이 감소한 기업은 29.2%에서 51.9%로 늘었다. 매출 감소 원인으로는 현지 수요 감소가 가장 컸고, 경쟁 심화, 코로나19 순으로 지목했다.

중국 진출 기업, 51.9% 이익 감소 - 산업종합저널 동향
자료=산업연구원


‘제로코로나 정책으로 봉쇄조치와 세계 경기둔화에 따른 중국 내 경기위축 등으로 매출과 이익이 악화된 것으로 보인다’는 게 연구원의 분석이다. 지난해 상반기부터 이어온 중국 정부의 봉쇄 조치와 20차 당대회 등의 중국 내 요인과 세계 경기둔화라는 대외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는 얘기다.

가동률도 저조했다. 지난해 하반기 기준 응답 기업의 절반 이상(52.0%)의 가동률은 60% 이하였던 것으로 조사됐다. 80% 이상 가동률을 보였던 기업은 13.8%에 불과했다.

진출 기업 가운데 과반(58.6%)은 향후 중국의 대내 환경이 악화할 것이라 예견했다. 중국 정부의 규제 정책과 생산비용 상승, 수요 시장의 변화를 악화 요인으로 꼽았다.

중국 진출 기업, 51.9% 이익 감소 - 산업종합저널 동향
자료=산업연구원


철수 및 이전을 고려 중인 기업들은 이전 이유로 중국 내 생산비용의 상승(38.3%)과 경쟁심화(22.3%)를 지목했다. 미중 분쟁과 승계 곤란도 각각 16%와 10.6%를 차지했다.

한편, 중국 진출 제조기업의 공급망 구조는 한·중 양국 편중이 심화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들 기업의 원부자재 조달처는 중국 현지가 71.3%, 한국은 24.9%로, 2년 전 조사와 견줘 각각 5.5%p, 0.1%p 소폭 올랐다.

판매처 또한 마찬가지로 중국기업에 38.5%, 중국 내 한국기업에 30.2%, 한국에 16.8%로 중국과 한국 비중이 컸다.
강현민 기자
khm546@industryjournal.co.kr


0 / 1000


많이 본 뉴스

이재명 대통령, 첫 내각 인선 발표…“위기 극복과 국민통합 이끌 적임자들”

이재명 대통령이 4일 제21대 대통령 취임 직후, 새 정부를 이끌 첫 내각 인선을 직접 발표했다. 이 대통령은 “즉시 업무가 가능한 능력과 전문성, 성과를 낼 수 있는 정치력과 소통 능력을 갖춘 인사를 중용했다”며 각 인사의 배경과 기대를 상세히 설명했다. 김민석 국회의원, 국무총리

정부, 전기차 충전 인프라 확대… 3월부터 본격 지원

환경부는 26일 브리핑을 통해 2025년 전기차 충전시설 지원 사업을 3월 초부터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올해 충전시설 설치 지원 예산은 전년 대비 43% 증가한 6천187억 원으로, 급속충전기 보급에 3,757억 원, 스마트제어 완속충전기 확대에 2천430억 원이 각각 투입된다. 류필무

신용취약 소상공인 대상 정책자금 지원, 최대 3천만 원 직접대출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하 소진공)은 지난 5일 발표된 ‘소상공인·자영업자 맞춤형 지원 강화방안’의 일환으로 ‘저신용 소상공인 자금’을 6일부터 접수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저신용 소상공인 자금’은 민간 금융기관을 통한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신용취약

쓸수록 돌려받는 ‘상생페이백’ 9월 15일 신청 시작

정부가 다음달 15일부터 새로운 소비지원 정책인 ‘상생페이백’을 시행한다. 만 19세 이상 국민이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으며, 2024년에 카드 사용 실적만 있으면 참여할 수 있다. 이번 제도는 국민의 체감 혜택과 소상공인 매출 증대를 동시에 겨냥한 소비 촉진책으로 마련됐다. 상생페이백

2024년 글로벌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 감소… 하반기 회복 전망

글로벌 전자 산업 공급망을 대표하는 산업 협회인 SEMI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전 세계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은 전년 대비 2.7% 감소한 122억 6,600만 in²을 기록했다. 매출은 6.5% 줄어든 115억 달러로 집계됐다. SEMI는 반도체 업계의 재고 조정이 지속되면서 웨이퍼 출하량과 매출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