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기계장비 70% 수입 베트남, 매력적인 시장 부상

기계·중장비 족집게 수출... ‘수출 유망시장 상담회’

기계장비 70% 수입 베트남, 매력적인 시장 부상 - 산업종합저널 기계
이해를 돕기위한 이미지

기계와 중장비 각 분야의 해외 시장성과 판로개척 방법을 알려주는 상담회가 열렸다.

KOTRA에 따르면, 수출지원과 판로개척 등 지사화 사업에 관심있는 중소·중견기업을 대상으로 지난 21일부터 12월 2일까지 미국 시카고와 일본 오사카, 중국 창사, 베트남 하노이, 케냐 나이로비에 근무하는 해외무역관의 경력 10년 이상의 지사화 전문가가 직접 상담하고 있다. 현지 수출시장에서 시행착오를 줄이고 기회시장에 바로 진출하도록 하기 위해서다.

KOTRA 지사화서비스는 해외무역관의 지사화 전담직원이 1년 동안 기업이 원하는 바이어를 찾아서 상담하고 수출계약을 맺도록 돕는 서비스다. 해외에 지사를 직접 운영하지 않아도 해외 지사처럼 이용할 수 있어서 호응을 얻고 있다.

지난해만 국내 중소·중견기업 4천265개사가 KOTRA 지사화서비스로 34억 7천만 달러를 수출했다. 올들어 9월까지 지사화 수출은 31억 4천663만 달러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30.3% 늘었다.

시카고는 미국 운송기계와 부품 산업의 62%, 일반기계 산업의 40%가 밀집한 지역이다. 세계 최대 규모의 미국 공작기계 전시회 IMTS(International Manufacturing Technology Show)가 매년 시카고에서 열린다.

베트남은 기계와 장비의 70%를 수입하고 있어 수출기업에 매력적인 시장이다. 창사는 중국 건설장비 제조기업 산이중공(SANY), 중장비기업 중롄중커(Zoomlion), 경비행기 엔진 제조기업 선워드(Sunward) 등이 있는 장비와 금속가공업 중심지다.

케냐는 건설 붐으로 한국산 기계와 자재를 수입하려는 기업이 빠르고 늘고 있다.

상담을 통해 제품 시장성과 현지 시장 특징 등을 확인한 기업은 지사화서비스를 통해 본격적인 현지 시장 진출을 꾀할 수 있다. KOTRA는 해외 지사화 전문가가 다양한 산업별 유망시장을 소개하는 자리를 지속적으로 마련해나갈 계획이다.

전춘우 KOTRA 중소중견기업본부장은 “한국 기업이 잘 알려지지 않은 시장에 빠르게 진출해 더 많이 수출하도록 다양한 기회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박재영 기자 기자 프로필
박재영 기자
brian@industryjournal.co.kr


0 / 1000


많이 본 뉴스

이재명 대통령, 첫 내각 인선 발표…“위기 극복과 국민통합 이끌 적임자들”

이재명 대통령이 4일 제21대 대통령 취임 직후, 새 정부를 이끌 첫 내각 인선을 직접 발표했다. 이 대통령은 “즉시 업무가 가능한 능력과 전문성, 성과를 낼 수 있는 정치력과 소통 능력을 갖춘 인사를 중용했다”며 각 인사의 배경과 기대를 상세히 설명했다. 김민석 국회의원, 국무총리

정부, 전기차 충전 인프라 확대… 3월부터 본격 지원

환경부는 26일 브리핑을 통해 2025년 전기차 충전시설 지원 사업을 3월 초부터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올해 충전시설 설치 지원 예산은 전년 대비 43% 증가한 6천187억 원으로, 급속충전기 보급에 3,757억 원, 스마트제어 완속충전기 확대에 2천430억 원이 각각 투입된다. 류필무

신용취약 소상공인 대상 정책자금 지원, 최대 3천만 원 직접대출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하 소진공)은 지난 5일 발표된 ‘소상공인·자영업자 맞춤형 지원 강화방안’의 일환으로 ‘저신용 소상공인 자금’을 6일부터 접수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저신용 소상공인 자금’은 민간 금융기관을 통한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신용취약

쓸수록 돌려받는 ‘상생페이백’ 9월 15일 신청 시작

정부가 다음달 15일부터 새로운 소비지원 정책인 ‘상생페이백’을 시행한다. 만 19세 이상 국민이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으며, 2024년에 카드 사용 실적만 있으면 참여할 수 있다. 이번 제도는 국민의 체감 혜택과 소상공인 매출 증대를 동시에 겨냥한 소비 촉진책으로 마련됐다. 상생페이백

2024년 글로벌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 감소… 하반기 회복 전망

글로벌 전자 산업 공급망을 대표하는 산업 협회인 SEMI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전 세계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은 전년 대비 2.7% 감소한 122억 6,600만 in²을 기록했다. 매출은 6.5% 줄어든 115억 달러로 집계됐다. SEMI는 반도체 업계의 재고 조정이 지속되면서 웨이퍼 출하량과 매출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