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美, 빅테크 기업의 몰락?···메타·아마존·트위터 등 감원 지속

한국 지사도 감원 전망

2019년 말 창궐한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전 세계 기업들을 포함한 가정집 대문에 걸쇠를 걸게 했다. 이로 인해 재택근무 등 비대면을 활용한 온라인 서비스 시장에 대한 수요가 늘면서 빅테크 기업의 고용률이 확대됐다.

하지만 그동안 코로나19로 인한 특수를 누린 전 세계 주요 빅테크 기업들은 우크라이나·러시아 간 지정학적 분쟁을 비롯해 경기침체와 실적 부진, 비대면 규제 완화를 이유로, 본격적인 대규모 감원에 돌입했다.

이에 본지 기자는 주요 해외 매체를 통해 관련 이슈를 파악하고, 내용을 정리해봤다.

아마존 1만여 명 감원 계획 발표

美, 빅테크 기업의 몰락?···메타·아마존·트위터 등 감원 지속 - 산업종합저널 동향
자료=123RF

지난 14일(현지시간) 뉴욕타임즈(NYT)는 아마존이 약 1만 명의 기업 및 기술직 직원을 해고할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이에 따르면, 현재 아마존의 시가총액은 지난해 앤디 재시(Andy Jassy) 아마존 최고경영자(CEO)가 취임 이후, 1조 달러 아래로 하락했다.

특히 아마존은 지난 2001년 당시 닷컴버블 사태로 인해 비정규직을 포함한 전체 직원의 15%에 달하는 1천500명을 구조조정을 진행한 바 있다. 그러나 이번 계획은 아마존 전체 160만 명 직원 중 1%에 해당하지만, 감원 수로는 역대 최대 규모로 꼽힌다.

메타(META), 전체 직원 중 약 13% 감원 계획

페이스북(Facebook) 모회사 메타(META) 또한 감원 계획을 발표했다. 지난 10일(현지시간) 미국 월스트리트 저널에 따르면, 메타는 침체된 디지털 시장과 주가 폭락에 대처하기 위해 전체 직원의 약 13%에 해당하는 1만1천여 명 이상의 직원을 구조조정 할 것이라고 밝혔다.

올해 메타 주가는 70% 이상 하락한 모습을 보였다. 이에 투자자들은 메타가 차세대 플랫폼인 메타버스(Metaverse) 부문에 수십억 달러를 투자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美, 빅테크 기업의 몰락?···메타·아마존·트위터 등 감원 지속 - 산업종합저널 동향
자료=123RF

이번 상황에 대해 마크 저커버그(Mark Zuckerberg) 메타 최고경영자는 ‘팬데믹 기간 동안 온라인 활동이 증가할 것이라는 예상은 틀렸다’며 ‘이는 내 잘못이고, 그 책임은 내가 진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회사의 전략적 방향에 대해서는 ‘오늘 날 메타가 매우 과소평가되고 있다고 생각한다’면서 ‘특히 메타버스는 엄청난 잠재력을 가진 수익성 높은 사업 중 하나’라고 자신감을 보였다고 월스트리트 저널은 전했다.

글로벌 빅테크 기업, 한국 지사도 감원 전망

글로벌 빅테크 기업의 감원 여파가 국내 지사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국내 IT업계에 따르면, 이미 이번 달 초에 전체 직원의 절반 수준인 3천700명을 해고한 트위터는 한국 지사에서 홍보팀 인력들을 모두 정리했다.

감원 계획을 밝힌 메타의 페이스북코리아는 정확한 구조조정 규모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일부 직원들에게 관련 내용을 통보했다고 알려졌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바이오 인공장기, 의료 혁명 이끌까… 심장이식 대기자들에게 희망

최근 심근경색으로 쓰러져 병원에 긴급 후송된 환자는, 쓰러진 지 5분이 넘은 바람에 심장이 멈췄다. 이 환자는 보조장치인 ECMO(체외막 산소화장치)를 사용하여 연명했지만, 심장은 결국 10일 후에야 다시 뛰었고, 그 기능은 70%에도 미치지 못했다. 결국 이 환자는 사망에 이르게 되었다.

2025년 소비 시장 5대 키워드 'S.N.A.K.E' 제시

대한상공회의소(이하 대한상의)가 2025년 소비 시장을 이끌 5대 키워드로 ‘S.N.A.K.E’를 선정하며, 경기 둔화와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유통 기업들이 생존 전략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한상의는 7일 발표한 ‘2025 유통산업 백서’를 통해 S.N.A.K.E(Survival, Next

이차전지 제조장비, 차세대 기술로 2030년 50조 원 시장 전망

이차전지 제조장비 산업이 2030년까지 50조 원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특히 건식 전극 공정과 전고체 배터리가 차세대 핵심 기술로 주목받으며, 관련 기술 개발과 글로벌 시장 주도권 확보를 위한 정책적 지원이 요구된다. 한국기계연구원(이하 기계연)은 최근 발간한 ‘기계

급증하는 고령층 취업… 일할 의지는 넘치지만 일자리는 부족

대한민국이 초고령사회로 빠르게 진입하면서 60대 이상 고령층의 노동시장 참여가 급증하고 있다. 2025년에는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20.6%에 달해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전망이며, 이에 따라 60대 이상의 일자리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부상하고 있다. 2024년 9월 기준, 60세 이상 취업자

DPP 도입, 국내 기업에 도전이자 기회

2027년부터 EU가 디지털제품여권(DPP) 제도를 순차적으로 의무화하면서, 국내 기업들의 선제적 대응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5일 'EU 디지털제품여권(DPP) 동향 및 GS1 국제표준 기반 대응 가이드라인'을 발표하며, DPP 정책 동향과 대응 방안을 제시했다. 디지털제품여권(DP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