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경기도 내 면세유 주유소 10곳 중 9곳, 적정가보다 비싸게 판매

경기도, ‘면세유 혜택 농·어민에게 돌아갈 수 있도록 행정조치 적극 협조할 것’

경기도 내 면세유 주유소 10곳 중 9곳, 적정가보다 비싸게 판매 - 산업종합저널 정책
자료=경기도 제공

경기도 소재에 있는 주유소 90% 이상이 농·어민을 위한 면세유를 적정가보다 비싸게 판매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경기도 김지예 공정국장은 7일 경기도청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경기도가 지난 9월 17일부터 30일까지 도 내 면세유 3종(휘발유·경유·등유)을 판매하는 주유소 164개소를 대상으로 가격표시 현황을 점검한 결과, 전체 대상의 91%에 해당하는 149개소가 적정가격을 표시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면세유는 조세특례제한법에 따라 농·어민에게 저렴한 가격으로 유류를 공급하기 위해 원가와 적정 마진을 고려한 가격(일반소비자가)에서 부가가치세 10%와 각종 유류세를 면제해주는 제도다.

관련 내용을 보면, 주유소 164개소 중 149개소는 면세유 적정가 대비 휘발유는 평균 10.9%(121원/ℓ), 경유는 평균 6.3%(85원/ℓ) 더 높은 추가 마진을 붙여 판매했다. 실제로 일부 주유소는 이를 통해 이중 마진을 수취했다.

만약, 면세유에 과도한 이중 마진을 책정해 판매할 경우 농·어민에게 돌아가는 면세 혜택이 줄어들게 된다.

주요 사례를 살펴보면, A주유소는 면세 휘발유의 과세유가 1ℓ당 1천798원일 때, 면세유를 1천400원에 판매했다. 이는 적정 면세유 가격(1천798원-세금 632원)인 1천 166원보다 234원(20%) 더 차익을 얻은 셈이다.

B 주유소 같은 경우에는 면세 경유의 과세유가 1ℓ당 1천870원일 때 면세유를 1천530원에 판매했다. 이는 적정 면세유 가격인 1천364원보다 166원(10.8%) 더 비싸다.

이는 모두 석유사업법 제38조의2 위반으로 최대 1천만 원의 과태료 부과 대상이다.

김 국장은 ‘주유소의 부당이득 수취 및 가격표시제도 위반으로 고유가·고물가 시대 농·어민 면세유 제도 취지 퇴색이 우려된다’며 ‘단 10원, 20원이라도 면세유 제도로 인한 혜택이 농·어민에게 돌아갈 수 있도록 관련 부서 등에 결과를 공유하고, 시·군의 과태료 부과 등 행정조치를 적극 협조 요청할 예정’이라고 했다.

한편, 경기도는 이번 현장 점검 결과 면세액 계산 방법 등 관련 규정에 미숙해 단순 계산오류로 잘못 표기한 주유소도 많은 만큼 사업자 교육 및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지도 활동을 지속할 예정이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이재명 대통령, 첫 내각 인선 발표…“위기 극복과 국민통합 이끌 적임자들”

이재명 대통령이 4일 제21대 대통령 취임 직후, 새 정부를 이끌 첫 내각 인선을 직접 발표했다. 이 대통령은 “즉시 업무가 가능한 능력과 전문성, 성과를 낼 수 있는 정치력과 소통 능력을 갖춘 인사를 중용했다”며 각 인사의 배경과 기대를 상세히 설명했다. 김민석 국회의원, 국무총리

정부, 전기차 충전 인프라 확대… 3월부터 본격 지원

환경부는 26일 브리핑을 통해 2025년 전기차 충전시설 지원 사업을 3월 초부터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올해 충전시설 설치 지원 예산은 전년 대비 43% 증가한 6천187억 원으로, 급속충전기 보급에 3,757억 원, 스마트제어 완속충전기 확대에 2천430억 원이 각각 투입된다. 류필무

신용취약 소상공인 대상 정책자금 지원, 최대 3천만 원 직접대출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하 소진공)은 지난 5일 발표된 ‘소상공인·자영업자 맞춤형 지원 강화방안’의 일환으로 ‘저신용 소상공인 자금’을 6일부터 접수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저신용 소상공인 자금’은 민간 금융기관을 통한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신용취약

쓸수록 돌려받는 ‘상생페이백’ 9월 15일 신청 시작

정부가 다음달 15일부터 새로운 소비지원 정책인 ‘상생페이백’을 시행한다. 만 19세 이상 국민이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으며, 2024년에 카드 사용 실적만 있으면 참여할 수 있다. 이번 제도는 국민의 체감 혜택과 소상공인 매출 증대를 동시에 겨냥한 소비 촉진책으로 마련됐다. 상생페이백

2024년 글로벌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 감소… 하반기 회복 전망

글로벌 전자 산업 공급망을 대표하는 산업 협회인 SEMI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전 세계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은 전년 대비 2.7% 감소한 122억 6,600만 in²을 기록했다. 매출은 6.5% 줄어든 115억 달러로 집계됐다. SEMI는 반도체 업계의 재고 조정이 지속되면서 웨이퍼 출하량과 매출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