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한국지능형사물인터넷협회, '한국AI사물인터넷협회'로 명칭 변경 추진

26일 이사회서 논의… "AI 3강 정책에 맞춰 '지능형' 한계 극복"

한국지능형사물인터넷협회, '한국AI사물인터넷협회'로 명칭 변경 추진 - 산업종합저널 동향
한국지능형사물인터넷협회(이하 협회)가 협회 명칭을 '(가칭)한국AI사물인터넷협회'로 변경하는 방안을 논의했다. 이는 AI와 IoT 기술 융합을 통한 생태계 확대와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략적 행보로 풀이된다. 협회는 지난 26일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된 이사회에서 명칭 변경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협회는 AI가 IoT 산업의 경쟁력과 서비스 구조를 결정짓는 핵심 동력으로 부상하면서, 기존 '지능형 사물인터넷'으로는 현재의 급격한 흐름 변화를 담아내는 데 한계가 있다고 판단했다. 명칭 변경 추진은 정부의 AI 3대 강국 도약 및 전 산업 AI 대전환(AX) 등 정책 및 산업 환경 변화에 발맞추기 위함이라고 설명했다. 협회의 현 명칭은 IoT가 다양한 디지털 기술과 융합되는 흐름을 반영하여 2019년에 변경한 바 있다.

협회는 AI를 기반으로 하는 IoT 융합 산업 생태계를 더욱 공고히 구축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했다. 향후 AI 기반 IoT 산업 환경 조성, 데이터·서비스 기반 신사업 발굴 지원, AI와 IoT 기술을 융합한 비즈니스 모델 발굴 등을 통해 회원사의 사업 확장에 실질적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협회 역할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명칭 변경은 AI와 IoT가 동반 성장하는 새로운 산업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한 전략적 도약이며, 정책 대응력을 높이고 산업 간 융합을 촉진해 AI 기반의 IoT 산업이 새로운 성장 국면에 진입하는 핵심 역할을 수행하겠다는 의지를 담았다. 협회 명칭 변경은 회원사는 물론 산학연 의견 수렴을 거친 후, 총회 결의를 통해 최종 의결될 예정이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AI 시장, 2032년 1.7조 달러 규모로 급성장... 한국 기업 '기회의 문' 열리나

글로벌 데이터 폭증과 고령화 추세가 인공지능(AI) 산업 혁명을 가속화하는 가운데, 한국 기업들의 AI 시장 진출 기회가 확대되고 있다. 가트너에 따르면 세계 AI 시장 규모는 2024년 2천334억 달러에서 2032년 1조 7천716억 달러로 연평균 29.2%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생성형 A

중소기업 AI 도입 지원 본격화… 정책과제와 법안 마련 착수

중소벤처기업부(중기부)는 23일 서울 광화문 빌딩에서 중소기업의 인공지능(AI) 도입·활용을 지원하기 위한 ‘중소기업 AI 정책자문단’(이하 정책자문단) 출범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정책자문단은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AI 기술 활용 확대를 위해 정책과제를 도출하고, ‘(가칭)중소기업 A

AI 도입, 매출 4%·부가가치 7.6% 증가…생산성 개선은 '아직'

국내 기업의 인공지능(AI) 도입이 매출과 부가가치 향상에 기여했다는 실증 분석 결과가 나왔다. 그러나 도입률은 여전히 낮고, 특히 제조업 분야에서는 활용이 더딘 상황이다. 산업 전반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구조적 대응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 산하 지속성장이니

AGI, 인간 지능을 넘보다… 해외 언론이 주목한 전망과 과제

인공일반지능(AGI)의 발전 가능성이 주목받고 있다. AGI는 특정 작업에 국한되지 않고 인간과 유사한 지능을 갖춘 인공지능을 의미하며, 경제·사회 전반에 미칠 영향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해외 주요 언론과 전문가들은 AGI의 실현 가능성과 그에 따른 도전 과제, 경제적·윤리적 이슈를 다각도로

AI, 글로벌 경제의 패러다임을 바꾸다

AI 기술이 빠른 속도로 진화하면서 산업 구조와 노동시장, 각국 정책 전반에 걸쳐 근본적인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기업은 자동화를 도입해 생산성을 높이는 한편, 정부는 연구개발 확대와 제도 정비를 통해 기술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기술 혁신을 넘어 경제 질서와 사회 시스템 전반을 새롭게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