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재생에너지 전환이 촉발한 자원개발 경쟁…“배터리 핵심광물 확보해야”

ESS/배터리 등 재생에너지 핵심부품, 타 전원 대비 6~13배 핵심광물 필요

재생에너지 전환이 촉발한 자원개발 경쟁…“배터리 핵심광물 확보해야” - 산업종합저널 정책
(왼쪽 다섯번째부터) 이용빈 더불어민주당 의원, 오동재 기후솔루션 연구원과 참석자들이 기념 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세계 재생에너지 전환이 가속화됨에 따라 배터리 핵심광물 확보에 주력해야 한다는 정책 제안이 나왔다.

한국 자원개발 사업의 발전 방향을 논하는 ‘자원개발 2.0시대 이대로 열릴 수 있나’ 토론회가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18일 개최됐다.

발제자로 참여한 오동재 기후솔루션 연구원은 “재생에너지 전환에 필수적인 배터리 핵심광물에 자원개발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풍력,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인프라를 갖추려면 ESS가 필수다. 가동률 기복이 심해 전력 수요와 공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없어서다. 공급이 남을 때 ESS에 저장했다가 필요할 때 사용하는 유연성을 갖춰야 제대로 활용할 수 있다.

ESS(에너지저장장치)와 배터리에 들어가는 핵심 광물 확보 경쟁이 심화되는 점이 문제다. 재생에너지는 타 전원 대비 6~13배의 핵심광물이 들어가는데, 세계적인 친환경 에너지원 전환 추세로 리튬, 니켈, 코발트, 망간 등 배터리 핵심광물 수요는 늘었다.

오동재 연구원은 “IEA(국제에너지기구)는 2030년까지 핵심광물 수요가 4배가량 상승할 것으로 예상했다”면서 “리스크가 큰 화석연료 신규개발보다는 핵심광물 사업에 집중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또한, “국내 재생에너지 확대를 가속화해 화석연료 가격 리스크를 줄이고, 자원개발 사업에 뛰어드는 기업이 ESG 리스크를 사전에 검토할 수 있도록 제도를 정비해야 한다”라고 제안했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나노코리아] 종이 생산하는 ‘펄프’로 신소재 개발

환경문제가 대두되면서 ‘지속가능한’, ‘녹색경영’ 등 산업계 안팎에서 친환경 소재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킨텍스에 열린 ‘나노융합대전’의 친환경 소재 특별관에서는 한솔제지와 무림P&P가 종이의 제작 원료인 펄프를 사용한 ‘나노 셀룰로오스’를 참관객들에게 소개했다. 셀룰로오스(C

산업부, 수소 생태계 관리 본격화

최근 발전용 수소 물량이 급증해 생산·유통되는 수소의 양이 함께 증가함에 따라 대규모 수소 수요에 대응토록 하는 수급 계획 추진의 목소리가 커진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종로구 광화문 HJ비즈니스센터에서 수소수급전망 수립을 본격 추진하기 위해 ‘제 1차 수소 수급실무위원회’를 27일 발족했

수소청소차가 수거한 쓰레기에서 수소 생산

현대자동차그룹이 ‘H2 MEET 2023’에서 ‘수소전기트럭청소차’를 비롯한 수소순환솔루션을 제시했다. 해당 청소차는 압축 수소를 연료로 삼는다, 175L 분량 탱크 4개에 실린 수소는 차량 하부의 수소 연료전지 스택(stack)에서 대기 중의 공기와 결합, 전기 화학반응을 일으키며 전기를 생산한다.

운반 어려운 액체수소, 암모니아로 만들어 해결

운반이 어려운 액체수소를 암모니아로 만들어 운송하는 청사진이 제시됐다. 한화임팩트가 13일 일산 킨텍스에서 진행 중인 ‘H2 MEET 2023’에서 액상 암모니아를 질소‧수소 혼합기체로 만드는 기술을 선보였다. 가스연료를 운송할 때는 기체상태의 연료를 액체상태로 바꾼 후 극저온 용기에 보

모듈형 수소발전기 등장한 ‘H2 MEET 2023'

수소를 연료로 발전하는 모듈형 수소발전기가 ‘H2 MEET 2023(이하 전시회)'에서 참관객의 관심을 끌었다. 전시회에 참여한 현대자동차그룹(이하 현대)은 이동형 수소충전소, 폐플라스틱 수소생산 솔루션, 모듈형 수소발전기 등 수소 생태계 구축을 위한 기술과 비전을 선보였다. 특히 모듈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