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PRINT 4.0②]아날로그냐 디지털이냐. 그것이 문제로다

다품종 생산 유리한 디지털 인쇄, 대량·고품질 생산 유리한 아날로그 인쇄

인쇄산업의 4차 산업혁명, 프린트 4.0이 진행되고 있다. 일산 킨텍스에서 진행 중인 ‘K-PRINT 2023(이하 K-PRINT)’에서 변화하는 인쇄산업의 모습을 살펴봤다.

‘인쇄물’의 정의가 바뀌었다. 출판 시장이 온라인으로 이동하고, 포장‧라벨‧사이니지 등 상업용 인쇄가 성장하면서다. 인쇄물은 이제 ‘제품 PR 수단’이 됐다. 고객의 요구를 충족하고, 고객과 함께 일을 만드는 코디네이터로 변한 것이다.

인쇄 업체는 고객을 사로잡기 위해 다품종 소량생산에 적합한 디지털 인쇄 기술을 택하고 있다. 디지털 인쇄는 제판과 사전 작업이 필요하지 않고, 부수에 맞춰 소량 생산해 효율성이 높다. 또한, 페이지마다 다른 내용을 인쇄하는 가변 데이터 인쇄(Variable Data Printing)로 맞춤형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오프셋 인쇄와 디지털 인쇄, 차이점은?

아날로그 인쇄와 디지털 인쇄의 가장 큰 차이는 ‘직접 인쇄’다. 디지털 인쇄는 용지에 직접 인쇄하지만, 아날로그 방식인 ‘오프셋 인쇄’는 인쇄물을 찍어낼 판(스크린)을 먼저 만들고, 판에 잉크를 묻혀 용지에 인쇄한다. ‘판화’를 떠올리면 쉽다.
[PRINT 4.0②]아날로그냐 디지털이냐. 그것이 문제로다 - 산업종합저널 장비
오프셋 인쇄 설비. 긴 유닛을 통과하며 인쇄된다.

오프셋 인쇄 방식을 확인해 봤다. 디자인에 맞는 판을 제작하고, 제작한 판을 설비 유닛에 장착한다. 잉크를 혼합해 각 유닛에 넣으면 준비가 끝난다. 종이가 유닛을 통과하며 색이 하나씩 입혀져 인쇄물이 나온다.

척 봐도 복잡하다. 업체 관계자는 “판 제작, 잉크 혼합 등 전문 기술자가 필요하지만, 배우려는 사람이 없다”라고 토로했다.
[PRINT 4.0②]아날로그냐 디지털이냐. 그것이 문제로다 - 산업종합저널 장비
디지털 인쇄 설비

디지털 인쇄는 훨씬 간단하다. 제작한 디자인을 종이에 그대로 인쇄한다. 흔히 사용하는 사무용 프린터와 원리는 같다. 다만, 성능이 ‘매우’ 좋다.
[PRINT 4.0②]아날로그냐 디지털이냐. 그것이 문제로다 - 산업종합저널 장비
디지털 인쇄로 뽑은 결과물. 다양한 이미지를 한 번에 출력했다.

디지털 라벨인쇄기를 전시한 딜리 관계자는 “이미지만 있으면 얼마든지 생산할 수 있고, 속도도 빨라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면서, “다른 종류의 이미지도 한 번에 뽑을 수 있어 다품종 생산에 효율적”이라고 말했다.

디지털이 오프셋 못 이기는 이유, ‘품질’과 ‘대량 생산’

디지털 인쇄와 오프셋 인쇄의 차이를 살펴봤다. 필요할 때 필요한 부수를 빠르고 쉽게 인쇄하니 모든 면에서 우월해 보인다. 그런데 디지털 인쇄의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품질’이다.

디지털 인쇄 기술이 발전을 거듭했지만 오프셋 인쇄의 품질은 아직 넘지 못했다. 오프셋은 색조를 ‘정확히’ 표현할 수 있고, 보다 디테일한 인쇄가 가능하다. 대량 인쇄가 저렴한 장점도 있다. 설정은 어렵지만 준비만 마치면 고품질 인쇄물을 빠르게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다.

인쇄 부수가 500~1천 부 이상이 되면 오프셋이 디지털보다 저렴해진다. 오프셋은 고품질 대량 인쇄 시장을, 디지털은 다품종 소량 인쇄 시장을 각각 점유하는 것이다.

경쟁 관계가 아니어서인지 K-PRINT에서 만난 업체 관계자들은 서로를 변호했다. 디지털 관계자는 “품질은 오프셋을 절대 이길 수 없다”, 오프셋 관계자는 “전문 인력 찾기도 점점 어렵고, 결국 인쇄업계가 갈 길은 디지털이다”라고 말했다.

오프셋과 디지털. 인쇄업계는 무엇을 택해야 할까.

오프셋 대 디지털. 답은 ‘둘 다’

답은 간단했다. 둘 다 하는 것이다. 조우현 일본 프린팅아카데미 교장은 “모든 인쇄기가 디지털로 넘어가야 하는 게 아니냐는 질문을 많이 받았다”면서, “오프셋 시장이 많이 줄긴 했지만 급격히 줄어들진 않았고, 디지털 시장 성장도 주춤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인쇄업계는 고품질을 유지하면서도 소량, 다품종, 단납기에 대응해야 한다. 조우현 교장은 “오프셋 인쇄 생산 환경에 디지털 인쇄의 장점을 조화해 전체 최적화를 꾀해야 한다”라고 조언했다.

인쇄기술 자체도 결합되고 있다. 오프셋 인쇄는 소량 생산이 가능하도록, 디지털 인쇄는 고기능화로 개발되고 있다. 인쇄 수량에 따라 나뉘었던 시장이 하나로 합쳐지는 것이다. 조 교장은 “앞으로 10년 내에 인쇄업계의 오프셋, 디지털 인쇄 융합이 일어날 것”이라고 예상했다.

→[PRINT 4.0③]으로 이어집니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기획 2편] “인간형 로봇의 꿈, 기술보다 더 느리게 걷는다”

2021년, 일론 머스크는 “앞으로 육체노동은 선택이 될 것”이라며 ‘옵티머스(Optimus)’라는 이름의 인간형 로봇을 세상에 소개했다. 단순한 기계가 아니라, 인간처럼 걷고 말하며 노동을 수행할 수 있는 ‘진짜 로봇’의 탄생이었다. 그는 이 로봇이 테슬라 차량보다 더 큰 가치를 창출할

[기획 1편] 인간의 일을 넘겨받은 기계, Figure 03의 선언

“인간형일 필요는 없었다…그러나 인간의 자리로 들어왔다” 인간은 오랫동안 ‘일’을 통해 자신의 존재를 증명해왔다. 하지만 지금, 이 전제가 흔들리고 있다. 로봇이 현장을 대체하고, 인공지능이 생각을 모방하며, 일하는 인간의 자리가 서서히 해체되고 있다. 본지는 이 흐름 속에서

[심층] ‘유령기지국’ 통한 소액결제 피해…디지털 인증 체계의 사각지대

경기 광명시와 서울 금천구에서 KT 이용자를 중심으로 소액결제 피해가 다수 보고되면서, 불법 초소형 기지국, 이른바 ‘유령기지국’ 개입 가능성이 제기됐다. KT는 9일 일부 통화 기록에서 실존하지 않는 기지국 ID가 확인됐다고 밝혔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민관합동조사단을 꾸려 현장

[심층기획] “기술을 지켰다면, 사업은 무너지지 않았다”

기술을 빼앗겼다는 확신이 들었을 때, 그는 너무 늦었음을 깨달았다. 함께 개발하자며 도면을 요청한 상대는, 이후 연락을 끊었고 몇 달 뒤 유사한 제품을 출시했다. 계약서에는 권리 귀속 조항이 없었고, 그가 증거라고 주장한 파일은 상대 기업의 서버에 있었다. 법원은 입증 부족을 이유로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