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카드뉴스] ‘고령화’된 일터, 2050 취업자 평균연령 53.7세 예측

고령취업자 저위기술·저부가가치 산업 위주… 향후 고위기술 인력난 심화 우려

[카드뉴스] ‘고령화’된 일터, 2050 취업자 평균연령 53.7세 예측 - 산업종합저널 동향
[카드뉴스] ‘고령화’된 일터, 2050 취업자 평균연령 53.7세 예측 - 산업종합저널 동향
[카드뉴스] ‘고령화’된 일터, 2050 취업자 평균연령 53.7세 예측 - 산업종합저널 동향
[카드뉴스] ‘고령화’된 일터, 2050 취업자 평균연령 53.7세 예측 - 산업종합저널 동향
[카드뉴스] ‘고령화’된 일터, 2050 취업자 평균연령 53.7세 예측 - 산업종합저널 동향
[카드뉴스] ‘고령화’된 일터, 2050 취업자 평균연령 53.7세 예측 - 산업종합저널 동향






저출산·고령화 현상 심화로 2050년 국내 취업자 평균연령이 약 54세까지 높아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이는 OECD 국가의 2050년 취업자 평균연령(43.8세)보다 9.9세 높은 수치입니다.

대한상공회의소 SGI(지속성장이니셔티브)는 최근 발표한 '부문별 취업자의 연령분포 및 고령화 현황과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지난해 우리나라 취업자의 평균연령을 약 46.8세로 추정했는데요.

제조업은 의류(59.8%), 가죽신발(59.6%), 목재(57.3%), 섬유(52.6%) 등 저위기술 산업, 서비스업은 부동산(67.8%), 사업지원(57.1%) 등 저부가가치·노동집약적 산업을 중심으로 고령 취업자 비중이 높았습니다.

지역적으로는 지난해 기준 전남(58.7%), 강원(55.5%), 경북(55.2%), 전북(53.9%), 경남(51.7%) 등 비수도권에서 50세 이상 취업자가 절반을 넘어선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하지만 수도권, 대전·세종 등에서도 50세 이상 취업자가 지난 10년간 10%포인트 이상 빠르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SGI는 “저출산·고령화에 기인한 취업자 고령화 문제는 인력 미스매치, 산업경쟁저하, 지방 소멸 등과도 연결되어 있다”며 “국가 미래를 위협하고 있는 인구 문제에 대해 정부, 기업, 가계 등이 힘을 모아 출산율 제고, 취업자 생산성 향상, 산업별 인력 수급 문제 해결 등의 종합적인 대책을 찾아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SGI는 보고서를 통해 ▲저출산 대책 효율화 ▲고령층 생산성 제고 ▲임금체계 개편 ▲인력수급 개선 필요성 등의 정책제언을 내놨습니다. 그 말마따나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실효성 있는 대책이 마련돼야 할 것입니다.
임지원 기자
jnews@industryjournal.co.kr


0 / 1000


많이 본 뉴스

[카드뉴스] 저출산·고령화 위기, AI 기반 생산성 혁신이 해답

한국의 저출산·고령화 현상이 가속화되면서 노동력 감소와 경제 성장 둔화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카드 1: 2024년 합계출산율 0.75명, 여전히 세계 최저 수준 2050년 취업자 평균연령 53.7세, OECD 평균(43.8세)보다 10세 높아질 전망 노동력 감소→잠재성장률 하락 위험 이러한 변화에 대

[카드뉴스] AI, 2025년 어디까지 왔나?

카드뉴스 1 AI는 더 이상 실험실의 기술이 아닙니다. 이미 의료, 제조, 교육, 교통 등 실생활 곳곳에 깊숙이 자리 잡았습니다. AI가 내리는 진단, 자율주행차, 맞춤형 교육이 현실이 되었습니다. 카드뉴스 2 생성형 AI의 일상화 텍스트, 이미지, 영상까지 만들어내는 생성형 AI가 콘텐츠 제

[카드뉴스] 기계 산업의 혁신과 미래

카드 1: 기계 산업의 미래, 스마트 제조로 나아가다 "2024년, 기계 산업은 스마트 제조로 나아가고 있습니다. 자동화와 데이터 분석을 통해 생산성을 높이고, 불량률을 줄여 더 효율적이고 정밀한 제조 시스템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카드 2: 디지털 트윈, 기계 산업의 새로운 변화 "디지

[카드뉴스] 올해 IoT의 미래를 바꿀 8가지 키워드

카드뉴스 1 2030년, IoT 연결 장치 400억 대 시대! 2030년까지 전 세계 IoT 기기 수가 400억 대에 이를 것으로 전망됩니다. 집, 자동차, 공장 등 우리 생활 곳곳이 더 촘촘하게 연결됩니다. 카드뉴스 2 2025년, IoT의 핵심 트렌드는? 올해 IoT는 AI, 5G, 엣지 컴퓨팅 등 첨단 기술과 결합해

[카드뉴스] 얼어붙은 소비심리와 위축된 소매시장

카드 1: 소비심리, 3분기 연속 하락 대한상의 조사 결과, 1분기 소매유통업 경기전망지수(RBSI)는 77로 집계됐습니다. 고물가와 고금리, 그리고 경제 불확실성이 소비 심리를 위축시키고 있습니다. 소비시장의 장기 침체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카드 2: 소비시장 위축시키는 주요 요인 소비심리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