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취준생·기업 관심↑… '바이오헬스 분야 실무 인재 양성소'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한국바이오인력개발센터, BIX 2023서 사업 소개

취준생·기업 관심↑… '바이오헬스 분야 실무 인재 양성소' - 산업종합저널 전시회
한 참관객이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의 디지털 바이오 융합분야 신규 교육프로그램 수요조사에 참여하고 있다

한국바이오협회 주최로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12일 개막한 '바이오플러스-인터펙스 코리아 2023(BIOPLUS-INTERPHEX KOREA 2023, BIX 2023)'에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한국바이오인력개발센터(이하 센터)가 참가했다.

센터 관계자는 "바이오의약품 GMP 제조 전문인력양성 교육과정을 안내하고 정책기조에 맞춰 디지털바이오 분야 프로그램을 기획하기 위한 수요조사도 진행하고 있다"라고 소개했다.

2019년도부터 바이오의약품 생산 전문인력 양성사업 계획을 수립하고 기초교육과정을 운영해 왔다. 현재는 3개 과정을 세 가지 단계 별로 나눠 진행하고 있다.

취준생·기업 관심↑… '바이오헬스 분야 실무 인재 양성소' - 산업종합저널 전시회
기업 참관객들이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의 전문인력양성 교육 프로그램을 살펴보고 있다.

인재양성사업단에서 진행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소개한 관계자는 "전문인력양성 교육과정은 현장에서 많이 쓰이는 제품 및 기기을 활용해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교육 이수 후에도 교육이수증 발급 등 취업에 도움을 주고 있고, 추천을 원하는 기업들에 비정기적 취업 연계도 진행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신입 직원을 뽑으면 보통 바로 업무 투입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보니, 기업에서도 교육과정을 OJT(on-the-job training, 직장 내 교육훈련) 개념으로 보고 이수자 추천 요청이 들어오곤 한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이어 "한국바이오인력개발센터는 '현장형' 전문인력양성기관으로서 현장에 즉시 투입 가능한 교육을 하는 것이 목표다. 정책과 산업 현장의 괴리가 없도록 하고 글로벌 트렌드에 맞는 교육 프로그램을 기획하려 한다"라고 덧붙였다.

한편, 250개 기업 400개 부스 규모로 열린 '바이오플러스-인터펙스 코리아 2023(BIOPLUS-INTERPHEX KOREA 2023, BIX 2023)' 전시 행사는 오늘(14일) 폐막한다.
임지원 기자
jnews@industryjournal.co.kr


0 / 1000


많이 본 뉴스

이재명 대통령, 첫 내각 인선 발표…“위기 극복과 국민통합 이끌 적임자들”

이재명 대통령이 4일 제21대 대통령 취임 직후, 새 정부를 이끌 첫 내각 인선을 직접 발표했다. 이 대통령은 “즉시 업무가 가능한 능력과 전문성, 성과를 낼 수 있는 정치력과 소통 능력을 갖춘 인사를 중용했다”며 각 인사의 배경과 기대를 상세히 설명했다. 김민석 국회의원, 국무총리

정부, 전기차 충전 인프라 확대… 3월부터 본격 지원

환경부는 26일 브리핑을 통해 2025년 전기차 충전시설 지원 사업을 3월 초부터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올해 충전시설 설치 지원 예산은 전년 대비 43% 증가한 6천187억 원으로, 급속충전기 보급에 3,757억 원, 스마트제어 완속충전기 확대에 2천430억 원이 각각 투입된다. 류필무

신용취약 소상공인 대상 정책자금 지원, 최대 3천만 원 직접대출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하 소진공)은 지난 5일 발표된 ‘소상공인·자영업자 맞춤형 지원 강화방안’의 일환으로 ‘저신용 소상공인 자금’을 6일부터 접수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저신용 소상공인 자금’은 민간 금융기관을 통한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신용취약

쓸수록 돌려받는 ‘상생페이백’ 9월 15일 신청 시작

정부가 다음달 15일부터 새로운 소비지원 정책인 ‘상생페이백’을 시행한다. 만 19세 이상 국민이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으며, 2024년에 카드 사용 실적만 있으면 참여할 수 있다. 이번 제도는 국민의 체감 혜택과 소상공인 매출 증대를 동시에 겨냥한 소비 촉진책으로 마련됐다. 상생페이백

2024년 글로벌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 감소… 하반기 회복 전망

글로벌 전자 산업 공급망을 대표하는 산업 협회인 SEMI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전 세계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은 전년 대비 2.7% 감소한 122억 6,600만 in²을 기록했다. 매출은 6.5% 줄어든 115억 달러로 집계됐다. SEMI는 반도체 업계의 재고 조정이 지속되면서 웨이퍼 출하량과 매출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