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법률업무 자동화 서비스 등장, “업무 표준화, 필요한데도 안 하고 있었다”

‘넥스트라이즈 2023 서울’, 서울 코엑스서 1일 개막

법률업무 자동화 서비스 등장, “업무 표준화, 필요한데도 안 하고 있었다” - 산업종합저널 전시회
김용범 (주)렉시냅틱스 대표이사가 참관객에게 서비스를 설명하고 있다

인공지능(이하 AI)으로 복잡한 법률업무를 자동화하는 ‘소송 자동화 서비스’가 ‘넥스트라이즈 2023 서울(NextRise 2023 Seoul, 이하 박람회)’에서 참관객의 관심을 끌었다.

소송 자동화 서비스는 판례 탐색, 법률문제 진단, 법률문서 작성 등의 과정을 AI로 대체한다. 사건들을 유형화한 데이터베이스를 토대로 AI가 진단 질문지를 제공하고, 진단 결과를 분석해 문제 해결에 필요한 법률과 문서를 제시한다. 문서 작성도 자동으로 진행한다. 고객은 진행 과정 중 언제든 변호사의 협업을 요청해 자문을 구할 수 있다.

서비스를 소개한 김용범 (주)렉시냅틱스 대표이사는 “기업 법무는 전문지식이 필요하고 시간도 오래 걸려 외부로펌을 섭외하거나 사내변호사를 채용하는 경우가 많다”면서, “소송 자동화 서비스로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렉시냅틱스는 챗GPT를 결합하는 등 단계적으로 서비스를 고도화할 계획이다. 김용범 대표는 “소비자는 신속‧정확한 법률 서비스를 저렴하게 받을 수 있고, 변호사는 비교적 간단한 업무를 빠르게 처리할 수 있다”면서, “서비스 데이터가 확보될수록 더 효율적인 업무 처리가 가능하다”고 의의를 밝혔다.

또한, 법률업무의 표준화 필요성도 강조했다. 그는 “구속될만한 형사사건, 거액의 민사소송 등 변호사가 꼭 필요한 사건은 전체 소송 중 1~2%뿐이고, 계약서 작성도 표준계약서 양식만 잘 구비하면 변호사가 수정하는 부분은 5%에 불과하다”면서, “표준운영절차(SOP)만 잘 수립하면 자동화 가능한 부분이 많지만, 해야 하는데도 안 하고 있었다”고 꼬집었다.

그는 “법률 서비스가 표준화되지 않아 고객도 서비스 품질보다 변호사의 ‘이름’만 보고 선택하는 현상이 생겼다”면서, “리걸테크 업계와 대한변호사협회의 충돌이 있지만, 변호사의 밥그릇을 위협하는 게 아니라 ‘의사에게 의료기기를 주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번 박람회는 서울 코엑스에서 2일 까지 진행된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열분해 기술로 폐타이어 재활용

기후 위기 대응 차원에서 폐기물 자원을 재활용하는 순환자원에 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10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2022 대한민국 ESG 친환경대전'에 참가한 친환경 소재기업 (주)엘디카본은 폐타이어를 수집해 재활용하는 과정을 소개했다. 이 회사는 폐타이어나 기타 고무 제품을 수거

[DTon] 고소 작업 시, 추락 방지 위한 ‘발끝막이판’

건물의 골조를 세우기 위해서는 거푸집을 활용한다. 그중에서도 갱폼(Gang Form)은 건축 구조물의 시공성을 높이기 위해 각 부재들을 건물의 형태대로 제작한 거푸집이다. 갱폼이 위치한 층수에서 슬래브 타설을 하는 콘크리트 작업자와 견출 작업자들은 갱폼에 구축된 작업발판을 이용해 이동하기

[DTon] 풀림 방지 강화한 원터치 샤클로 중량물 낙하 예방

건설현장을 비롯한 다양한 산업 현장에는 중량물을 운반하기 위한 중장비 및 타워크레인이 존재한다. 높은 곳에 상주하는 타워크레인 기사는 현장 내 작업자와 무전기를 통해 수신하며 자재를 다른 장소로 옮긴다. 중량물에 결속하는 장비는 슬링이라는 인양 로프와 이를 걸어주는 샤클이 사용된다.

[DTon] 건설안전, 현장의 목소리 반영해 개선

경기 고양시 KINTEX(킨텍스)에서 ‘2022 한국건설안전박람회’가 19일부터 21일까지 사흘 간 진행했다. 이번 행사에 참여한 이동식 CCTV 제조 및 판매, 관리 업체 (주)지에스아이엘(GSIL)은 건설 현장의 애로사항을 고려해 수정하는 과정을 통해 건설 현장의 안전성을 높이는 제품을 선보였다.

기술은 '가치중립적’… 생성형 AI 악용 줄이려면?

‘챗GPT’와 같은 대화형 인공지능(AI) 및 생성형 AI 기술이 사람들에게 익숙하게 자리 잡아가고 있지만 그 이면의 사회적 문제 역시 불거지고 있다. 텍스트와 이미지, 동영상 등을 생성해 내는 생성형 AI는 활용과 규제에 대한 논의보다 앞서 대중에 공개되며 기능의 악용, 저작권 문제, 무차별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