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선박 불법개조’ 왜 이렇게 많나 ‘4년새 5.1배 늘어’

해상조난사고 54.8% ‘선체, 설비, 추진기관 손상’

‘선박 불법개조’ 왜 이렇게 많나 ‘4년새 5.1배 늘어’ - 산업종합저널 동향

선박 불법 개조는 여전히 성행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처벌이 미온적이어서 선체, 설비, 추진기관 손상에 따른 해상조난사고로까지 이어지고 있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신정훈 의원(더불어민주당·나주화순)이 해양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검거한 선박 불법개조 사범은 총 154명이다. 이는 2018년 30명 대비 5.1배 증가한 수치다.

2018년 이후 올해 8월까지 선박 불법개조 441건 중 선체․설비 변경 등이 398건(60.2%), 추진기관 개조는 6건(1.4%)으로 파악했다. 이처럼 선박 불법개조 증가 사례가 많지만 같은 기간 검거한 선박 불법개조 사범 485명이다. 이 가운데 구속한 사람은 단 1명도 없는 것으로 확인했다.

선박 불법 증‧개축은 수면 위에서 배가 기울어질 때 원위치로 되돌아오려는 성질인 '선박 복원성'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쳐 선박 전복사고의 직·간접적인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현재 선박안전법, 어선법 등에서 선박의 구조배치·기관·설비 등을 변경하거나 개조한 자에 대해 형사처벌하는 규정을 두고 있다.

실제로 2017년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전체 해상조난사고 1만 3천712척 중 ‘선체, 설비, 추진기관 손상’ 관련 사고가 54.8%(7천510척)나 됐다. 이로 인한 인명사고 비중은 55.9%(4만 3천250명)로 집계했다.

신정훈 의원은 “선박 불법 개조는 선체 강도나 복원성 약화를 통해 해양사고를 초래할 수 있다”며, “국민의 안전과 직결되는 불법행위인 만큼 엄정한 법 집행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이재명 대통령, 첫 내각 인선 발표…“위기 극복과 국민통합 이끌 적임자들”

이재명 대통령이 4일 제21대 대통령 취임 직후, 새 정부를 이끌 첫 내각 인선을 직접 발표했다. 이 대통령은 “즉시 업무가 가능한 능력과 전문성, 성과를 낼 수 있는 정치력과 소통 능력을 갖춘 인사를 중용했다”며 각 인사의 배경과 기대를 상세히 설명했다. 김민석 국회의원, 국무총리

정부, 전기차 충전 인프라 확대… 3월부터 본격 지원

환경부는 26일 브리핑을 통해 2025년 전기차 충전시설 지원 사업을 3월 초부터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올해 충전시설 설치 지원 예산은 전년 대비 43% 증가한 6천187억 원으로, 급속충전기 보급에 3,757억 원, 스마트제어 완속충전기 확대에 2천430억 원이 각각 투입된다. 류필무

신용취약 소상공인 대상 정책자금 지원, 최대 3천만 원 직접대출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하 소진공)은 지난 5일 발표된 ‘소상공인·자영업자 맞춤형 지원 강화방안’의 일환으로 ‘저신용 소상공인 자금’을 6일부터 접수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저신용 소상공인 자금’은 민간 금융기관을 통한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신용취약

쓸수록 돌려받는 ‘상생페이백’ 9월 15일 신청 시작

정부가 다음달 15일부터 새로운 소비지원 정책인 ‘상생페이백’을 시행한다. 만 19세 이상 국민이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으며, 2024년에 카드 사용 실적만 있으면 참여할 수 있다. 이번 제도는 국민의 체감 혜택과 소상공인 매출 증대를 동시에 겨냥한 소비 촉진책으로 마련됐다. 상생페이백

2024년 글로벌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 감소… 하반기 회복 전망

글로벌 전자 산업 공급망을 대표하는 산업 협회인 SEMI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전 세계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은 전년 대비 2.7% 감소한 122억 6,600만 in²을 기록했다. 매출은 6.5% 줄어든 115억 달러로 집계됐다. SEMI는 반도체 업계의 재고 조정이 지속되면서 웨이퍼 출하량과 매출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