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MICE 산업과 환경②]폐기물 배출량은 얼마나?

친환경 내세우면서…폐기물 배출량은 다들 ‘몰라’

도심 곳곳에서는 주마다 다양한 전시회가 열리고 있다. 지금도 전시장 한 편에선 다음 열릴 행사를 위한 준비로 분주한 모습이다. 행사 규모와 취지에 맞게 플라스틱이며 철근, 나무 목재 따위로 전시장은 매주 새로운 옷을 갈아입는다.

부스를 제작하는 데 활용하고 남은 자재들의 행방이 궁금해졌다. 폐기처리하는 것일까 아니면 재활용을 하는 것일까. 그 양도 상당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

이에 본지는 실제 마이스(MICE) 산업에 대한 ESG(Environment, 환경 Social, 사회 Governance, 지배구조) 경영 현황과 업계 상황을 알아보고, 문제점과 나아갈 방향을 조명한다.

지난 1편(2일자 본지 인터넷판) 보도와 관련, 이번에는 그 어마어마한 양을 따져봤다.


[MICE 산업과 환경②]폐기물 배출량은 얼마나? - 산업종합저널 전시회
경기도 김포시의 한 야적장. 전시장에서 활용한 목재들이 야적장 한 편에 산처럼 쌓여있다.


전시 후 배출되는 폐기물 배출량은 얼마나 될까. <산업종합저널>은 이를 조사하기 위해 대형 임대사업자, 지자체, 관련 협회, 철거 업체 등 전시업 이해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취재를 진행했다.

“30년 몸담았는데 이런 얘기는 처음 들어보네”
전시 업계에서 30년 동안 일 해왔던 전시 관련 협회 관계자 B씨에게 전시장 폐기물 자료의 여부를 묻자 되돌아온 말이다.

그동안 전시 업계에서 폐기물과 관련해 얼마나 관심이 적었는지 알 수 있는 대목이었다. 실제로 취재 과정 중 전시 후 폐기물 배출량을 집계하는 곳은 한 군데도 없었다. 관계자들 대부분이 모른다는 태도였다.

문제는 이들 전시 업계들이 저마다 자사 누리집에 ESG실천에 나서겠다고 공언하고 있다는 점이다. 폐기물 배출량을 줄이겠다고 외치고 있지만, 얼마나 배출되는지 파악 조차 못하고 있는 것이다.

B씨는 “그런데 전시 업계에서 친환경이다 뭐다 하는데, 실제로 하고 있는지 나도 잘 모르겠다. 다 허울뿐이지 뭐”라며 씁쓸하다는 표정을 지었다.

[MICE 산업과 환경②]폐기물 배출량은 얼마나? - 산업종합저널 전시회
전시장 전경. 기사 내용과 직접적인 관계 없음.


태워지는 쓰레기 최소 1천500톤
<산업종합저널>이 고양시 일산 서구청으로부터 입수한 자료를 보면, 올해 1월부터 9월23일 현재까지 고양시 일산 킨텍스(KINTEX)에서 배출된 폐합성수지류는 680톤으로 확인됐다.

추가적으로 본지가 강남구청으로부터 제출 받은 코엑스(COEX) 1년 치 폐목재 예상 발생량 자료에 따르면, 폐목재는 1년에 480톤, 세택(SETEC) 전시장은 360톤의 폐목재를 신고한 것으로 파악했다.

코로나19 여파로 위축된 전시산업이 올 봄 들어서면서 점점 활성화되고 있고, 해당 자료가 철거 업체가 내놓은 1년치 예상 신고량인 점을 감안하면 연간 발생량은 이보다 훨씬 더 웃돌 것이라는 추산이 가능하다.

현행법에 따르면 폐목재는 재활용을 해야만 한다. 불필요한 부분을 제외하면 대부분 재활용되는 것이다. 그러나 목재 생산부터 폐기, 재활용 등 일련의 과정을 고려하면 탄소 발생은 불가피하다.

폐목재 뿐만아니라 재활용이 안 되고 소각되는 쓰레기의 양도 만만치 않다. 국내 대형 전시 임대사업장의 폐기물 관리자 A씨에게 묻자 “3~4일 일정으로 진행하는 전시회 기준으로 한 홀당 최소 1톤에서 많으면 3~4톤 정도의 폐기물이 나온다”라고 답했다.

국내에서 열리는 전시가 1년에 대략 600건이고, 이들 전시가 모두 한 개 홀에서만 진행한다는 최소한의 시나리오로 시뮬레이션 하더라도 연간 최소 1천500톤 가량의 쓰레기가 소각장에서 태워지고 있는 셈이다. 인구 120만의 송파구와 강남구의 생활쓰레기 일 배출량보다 높은 수치다.

한 전시 주최사 관계자는 본지 기자와의 통화에서 “전시장 쓰레기 배출량이 적은 수준은 아니다”라며 보통 전시회 한 번에 약 55m³(약 5만 5천ℓ)의 쓰레기가 발생한다”라고 얘기했다.

[공동취재=최 준 기자·강현민 기자]
강현민 기자
khm546@industryjournal.co.kr


0 / 1000


많이 본 뉴스

[기획 2편] “인간형 로봇의 꿈, 기술보다 더 느리게 걷는다”

2021년, 일론 머스크는 “앞으로 육체노동은 선택이 될 것”이라며 ‘옵티머스(Optimus)’라는 이름의 인간형 로봇을 세상에 소개했다. 단순한 기계가 아니라, 인간처럼 걷고 말하며 노동을 수행할 수 있는 ‘진짜 로봇’의 탄생이었다. 그는 이 로봇이 테슬라 차량보다 더 큰 가치를 창출할

[기획 1편] 인간의 일을 넘겨받은 기계, Figure 03의 선언

“인간형일 필요는 없었다…그러나 인간의 자리로 들어왔다” 인간은 오랫동안 ‘일’을 통해 자신의 존재를 증명해왔다. 하지만 지금, 이 전제가 흔들리고 있다. 로봇이 현장을 대체하고, 인공지능이 생각을 모방하며, 일하는 인간의 자리가 서서히 해체되고 있다. 본지는 이 흐름 속에서

[심층] ‘유령기지국’ 통한 소액결제 피해…디지털 인증 체계의 사각지대

경기 광명시와 서울 금천구에서 KT 이용자를 중심으로 소액결제 피해가 다수 보고되면서, 불법 초소형 기지국, 이른바 ‘유령기지국’ 개입 가능성이 제기됐다. KT는 9일 일부 통화 기록에서 실존하지 않는 기지국 ID가 확인됐다고 밝혔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민관합동조사단을 꾸려 현장

[심층기획] “기술을 지켰다면, 사업은 무너지지 않았다”

기술을 빼앗겼다는 확신이 들었을 때, 그는 너무 늦었음을 깨달았다. 함께 개발하자며 도면을 요청한 상대는, 이후 연락을 끊었고 몇 달 뒤 유사한 제품을 출시했다. 계약서에는 권리 귀속 조항이 없었고, 그가 증거라고 주장한 파일은 상대 기업의 서버에 있었다. 법원은 입증 부족을 이유로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