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ECB, 9월 기준금리 인상···99년 유로화 공식출범 이래 최대 상승 폭

KDB미래전략연구소, 당분간 높은 인플레이션 지속될 전망

ECB, 9월 기준금리 인상···99년 유로화 공식출범 이래 최대 상승 폭 - 산업종합저널 동향
자료=123RF

유럽중앙은행(ECB)는 9월 통화정책회의를 통해 기준금리 인상을 단행하고, 인플레이션 제어에 대한 강한 의지를 드러냈다.

KDB미래전략연구소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ECB는 지난 8일 통화정책회의에서 기준금리를 0.5%에서 1.25%로 인상했으며, 예금금리는 0%에서 0.75%, 한계대출금리는 0.75%에서 1.50%로, 각각 75bp 인상했다. 이는 1999년 유로화 공식출범 이래 최대 상승 폭이다.

또한, APP(자산매입프로그램)의 만기채권 원금은 충분한 유동성 공급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기간 동안 재투자되며, PEPP(팬데믹 긴급매입프로그램) 만기채권의 원금 재투자는 2024년 말까지 지속될 전망이다.

보고서는 유로존의 물가 오름세 확대 및 중기 물가 전망 악화 등이 이번 자이언트스텝의 주된 배경이라고 분석했다. 특히, 유로존 8월 소비자물가상승률은 9.1%(yoy)를 기록해 사상 최고치를 넘어서는 등 인플레이션 압력에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봤다.

8월 에너지 가격은 러시아의 자원무기화로 인한 천연가스 공급 불안 등으로 전년동월 대비 높은 상승률(38.3%)을 기록, 식품 가격도 10.6% 상승했다.

천연가스 가격은 급등세가 다소 진정되는 모습을 보였지만, 러시아의 노드스트림1 가동의 무기한 중단 선언과 겨울철 난방 수요 등으로, 에너지 가격 불확실성 및 인플레이션 위험은 여전히 큰 상황이라 게 보고서의 설명이다.

한편, ECB는 당분간 높은 인플레이션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하면서, 다음달 27일 통화정책회의에서도 추가적인 기준금리 인상 등 공격적인 긴축 통화정책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리가르드 ECB 총재는 지난 8일 열린 기자회견에서 ‘이번 긴축기 금리인상이 9월 회의를 포함해 2~5회가 될 것으로 예상한다’면서 양적긴축 실행에 대해서는 현재로서는 시기상조라고 밝혔으나, 10월부터 관련 논의가 시작될 것으로 내다봤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열분해 기술로 폐타이어 재활용

기후 위기 대응 차원에서 폐기물 자원을 재활용하는 순환자원에 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10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2022 대한민국 ESG 친환경대전'에 참가한 친환경 소재기업 (주)엘디카본은 폐타이어를 수집해 재활용하는 과정을 소개했다. 이 회사는 폐타이어나 기타 고무 제품을 수거

[DTon] 고소 작업 시, 추락 방지 위한 ‘발끝막이판’

건물의 골조를 세우기 위해서는 거푸집을 활용한다. 그중에서도 갱폼(Gang Form)은 건축 구조물의 시공성을 높이기 위해 각 부재들을 건물의 형태대로 제작한 거푸집이다. 갱폼이 위치한 층수에서 슬래브 타설을 하는 콘크리트 작업자와 견출 작업자들은 갱폼에 구축된 작업발판을 이용해 이동하기

[DTon] 풀림 방지 강화한 원터치 샤클로 중량물 낙하 예방

건설현장을 비롯한 다양한 산업 현장에는 중량물을 운반하기 위한 중장비 및 타워크레인이 존재한다. 높은 곳에 상주하는 타워크레인 기사는 현장 내 작업자와 무전기를 통해 수신하며 자재를 다른 장소로 옮긴다. 중량물에 결속하는 장비는 슬링이라는 인양 로프와 이를 걸어주는 샤클이 사용된다.

[DTon] 건설안전, 현장의 목소리 반영해 개선

경기 고양시 KINTEX(킨텍스)에서 ‘2022 한국건설안전박람회’가 19일부터 21일까지 사흘 간 진행했다. 이번 행사에 참여한 이동식 CCTV 제조 및 판매, 관리 업체 (주)지에스아이엘(GSIL)은 건설 현장의 애로사항을 고려해 수정하는 과정을 통해 건설 현장의 안전성을 높이는 제품을 선보였다.

기술은 '가치중립적’… 생성형 AI 악용 줄이려면?

‘챗GPT’와 같은 대화형 인공지능(AI) 및 생성형 AI 기술이 사람들에게 익숙하게 자리 잡아가고 있지만 그 이면의 사회적 문제 역시 불거지고 있다. 텍스트와 이미지, 동영상 등을 생성해 내는 생성형 AI는 활용과 규제에 대한 논의보다 앞서 대중에 공개되며 기능의 악용, 저작권 문제, 무차별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