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카드뉴스] 한국, 반도체 칩4 동맹 두고 美·中 외줄타기

중국 배제하지 않으면서 이득 챙길 수 있는 섬세한 전략 필요

[카드뉴스] 한국, 반도체 칩4 동맹 두고 美·中 외줄타기 - 산업종합저널 정책
[카드뉴스] 한국, 반도체 칩4 동맹 두고 美·中 외줄타기 - 산업종합저널 정책
[카드뉴스] 한국, 반도체 칩4 동맹 두고 美·中 외줄타기 - 산업종합저널 정책
[카드뉴스] 한국, 반도체 칩4 동맹 두고 美·中 외줄타기 - 산업종합저널 정책
[카드뉴스] 한국, 반도체 칩4 동맹 두고 美·中 외줄타기 - 산업종합저널 정책
[카드뉴스] 한국, 반도체 칩4 동맹 두고 美·中 외줄타기 - 산업종합저널 정책
[카드뉴스] 한국, 반도체 칩4 동맹 두고 美·中 외줄타기 - 산업종합저널 정책








한국 정부가 미국이 주도하는 반도체 공급망 협의체인 '칩4' 예비회의에 참여한다고 8일 밝혔습니다. 칩4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지난 3월 한국과 일본, 대만에 제안한 반도체 동맹입니다.

이 동맹은 미국이 팹리스, 대만과 한국은 파운드리, 반도체 소재는 일본이 담당해 각 국이 가진 분야별 강점을 뭉치면 최강의 반도체 네트워크가 만들어진다는 점에서 기대감이 큽니다.

짚고 넘겨야할 부분도 있습니다. 바로 중국과의 관계인데요. 우방국끼리 똘똘 뭉쳐 공급망을 구축하는 일명 프렌드쇼어링(Friend-shoring) 전략인 칩4에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미국의 의도가 깔려 있기 때문입니다.

중국과의 교역 비중이 큰 한국 입장에선 고심이 될 수밖에 없는데요. 중국을 배제하는 동맹을 체결한다면 중국 입장에서도 가만히 있진 않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가까운 전례로 지난 2016년 중국은 사드배치의 보복으로 한한령을 내린 바 있습니다.

이런 맥락에서 한국의 칩4 가입은 섬세한 전략이 요구되는데요. 중국을 배제하지 않으면서도, 이득을 챙길 수 있는 대응이 필요합니다.

이와 관련해 지난 8일 이창양 산업부 장관은 세종시 정부청사에서 기자 간담회를 갖고 "칩4 참여는 경제적·전략적 차원에서 국익을 고려해 결정할 문제"라면서 "특정 국가를 배제하거나 폐쇄적인 모임을 만들 생각이 전혀 없다"고 말했습니다.
강현민 기자
khm546@industryjournal.co.kr


0 / 1000


많이 본 뉴스

[카드뉴스] 저출산·고령화 위기, AI 기반 생산성 혁신이 해답

한국의 저출산·고령화 현상이 가속화되면서 노동력 감소와 경제 성장 둔화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카드 1: 2024년 합계출산율 0.75명, 여전히 세계 최저 수준 2050년 취업자 평균연령 53.7세, OECD 평균(43.8세)보다 10세 높아질 전망 노동력 감소→잠재성장률 하락 위험 이러한 변화에 대

[카드뉴스] AI, 2025년 어디까지 왔나?

카드뉴스 1 AI는 더 이상 실험실의 기술이 아닙니다. 이미 의료, 제조, 교육, 교통 등 실생활 곳곳에 깊숙이 자리 잡았습니다. AI가 내리는 진단, 자율주행차, 맞춤형 교육이 현실이 되었습니다. 카드뉴스 2 생성형 AI의 일상화 텍스트, 이미지, 영상까지 만들어내는 생성형 AI가 콘텐츠 제

[카드뉴스] 올해 IoT의 미래를 바꿀 8가지 키워드

카드뉴스 1 2030년, IoT 연결 장치 400억 대 시대! 2030년까지 전 세계 IoT 기기 수가 400억 대에 이를 것으로 전망됩니다. 집, 자동차, 공장 등 우리 생활 곳곳이 더 촘촘하게 연결됩니다. 카드뉴스 2 2025년, IoT의 핵심 트렌드는? 올해 IoT는 AI, 5G, 엣지 컴퓨팅 등 첨단 기술과 결합해

[카드뉴스] 얼어붙은 소비심리와 위축된 소매시장

카드 1: 소비심리, 3분기 연속 하락 대한상의 조사 결과, 1분기 소매유통업 경기전망지수(RBSI)는 77로 집계됐습니다. 고물가와 고금리, 그리고 경제 불확실성이 소비 심리를 위축시키고 있습니다. 소비시장의 장기 침체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카드 2: 소비시장 위축시키는 주요 요인 소비심리

[카드뉴스] 따뜻한 기술, AI로 만드는 행복한 노후

카드 1: AI, 어르신 돌봄의 새 지평을 열다 고령화 사회에 대비해 AI 기술이 어르신 돌봄 서비스에 혁신을 가져오고 있습니다. 정부와 기업들의 노력으로 어르신들의 삶의 질이 크게 향상되고 있습니다. 카드 2: AI 로봇, 어르신의 든든한 동반자 '반려로봇 다솜이'와 같은 AI 로봇이 어르신들과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