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리튬이온전지 한계 돌파 ‘복합 음극재’ 상용화 기반 구축

실리콘 함량 20%까지 확대…그래핀 양산 기술 확보로 전기차·스마트기기 적용 가능성

리튬이온전지 한계 돌파 ‘복합 음극재’ 상용화 기반 구축 - 산업종합저널 전기
JNC머트리얼즈가 충북 제천시에 구축한 '그래핀 양산 설비(플랜트)'

리튬이온전지의 차세대 음극 소재 개발이 양산 단계로 진입하고 있다. 한국전기연구원(KERI)이 개발한 ‘실리콘/그래핀 복합 음극재’ 기술이 ㈜JNC머트리얼즈로 이전된 뒤 수천 톤급 그래핀 양산 설비가 구축되면서, 전기차·스마트폰 등 대규모 응용이 가능한 기반이 마련됐다.

실리콘은 흑연 대비 에너지 밀도가 10배 이상 높지만 충·방전 시 부피 팽창과 낮은 전도도가 문제였다. KERI 연구진은 전도성이 높고 안정성이 우수한 그래핀을 코팅층으로 활용해 이러한 단점을 완화했고, 실리콘 첨가 비율을 기존 5%에서 20%까지 늘려 전기차 주행거리를 20% 이상 연장할 수 있는 성능을 확보했다. 또한 값싼 마이크론급 실리콘을 활용해 가격 경쟁력도 높였다.

리튬이온전지 한계 돌파 ‘복합 음극재’ 상용화 기반 구축 - 산업종합저널 전기
KERI 정승열 나노융합연구센터장(왼쪽), JNC머트리얼즈 이창근 대표이사(오른쪽)

연구진은 수계 분산법을 통해 다양한 점도의 고품질 그래핀을 제조하고, One-step 공정으로 실리콘을 그래핀이 감싸는 코어-쉘 구조 복합 음극재를 생산하는 기술을 확보했다. 시작품 제작과 전기화학 평가, 국내외 특허 등록까지 완료했으며, 국제학술지 Energy & Environmental Materials에도 논문을 게재해 상용화 가능성을 입증했다.

기술이전 기업 JNC머트리얼즈는 충북 제천의 이차전지 특화단지에 입주해 대규모 그래핀 플랜트를 구축, 수천 톤 단위 생산 체계를 마련했다. 이를 통해 약 6만 대 전기차용 전지(4GWh 규모) 또는 수억 개 스마트폰 전지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KERI와 기업 간 협력은 양산 최적화와 기술 고도화로 이어지고 있다.

리튬이온전지 한계 돌파 ‘복합 음극재’ 상용화 기반 구축 - 산업종합저널 전기
'수(水)계 분산 기술(왼쪽)'을 기반으로 제조된 '리튬이온전지용 실리콘그래핀 복합 음극재(오른쪽)’

KERI 정승열 나노융합연구센터장은 “이 기술은 고용량과 안정성을 동시에 확보한 나노소재 기반 상용화 성과로, 출연연 기술 사업화의 모범 사례”라고 설명했다. JNC머트리얼즈 이창근 대표도 “KERI와의 협력을 통해 그래핀 양산 기반을 구축했으며, 이차전지 산업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KERI는 앞으로도 산학연 협력을 확대해 차세대 음극재 연구와 상용화 기술 개발을 이어가겠다는 계획이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불 끄는 전해액, 전기차 배터리 열폭주 제어 기술 확보

전기차 배터리 화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는 열폭주를 제어할 수 있는 난연성 전해액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확인됐다. 전해액 발화를 막기 위해 소화 원리를 접목한 접근으로, 리튬이온배터리의 구조적 안전성을 높이는 방식이다. 한국연구재단에 따르면, 충남대학교 송승완 교수 연구팀은

국내 연구진, 박막 탠덤 태양전지 세계 최고 효율 달성

차세대 태양광 발전의 핵심 기술로 꼽히는 박막 탠덤 태양전지 분야에서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고 효율을 달성하며 기술 주도권 확보의 전환점을 마련했다. 서울대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공동연구팀은 페로브스카이트/CIGS 탠덤 태양전지에서 26.3%의 광발전성능을 구현해, 미국 국립재생에너

세계 최초 고압 분사 방식 2리터급 친환경 암모니아 엔진 개발 성공

온실가스 발생이 없는 재생 가능한 에너지원인 암모니아를 연료로 사용하는 2리터급 엔진이 개발됐다. 이 기술은 향후 차량, 선박, 항공용 모빌리티의 동력원과 산업용 발전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핵심 기술로 활용될 전망이다. 한국기계연구원(기계연) 친환경에너지연구본부 박철웅 책임연구원

"AI가 만든 코드, 보안·품질까지 잡았다"… ETRI, '신뢰형 코드 생성 기술' 공개

"로그인 기능을 만들어줘" 같은 자연어 명령만으로 실제 실행 가능한 코드를 생성하는 AI가 보안 취약점, 논리 오류 등 품질 문제를 드러내는 가운데, 국내 연구진이 AI가 만든 코드의 '신뢰성'까지 보장하는 핵심 기술을 개발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대규모 언어모델(LLM)을 활

"정보 탈취형 악성코드 이메일 84% 급증"

2024년 한 해 동안 인포스틸러 악성코드를 이용한 이메일 공격이 전년 대비 84% 급증했다. IBM이 24일 발표한 ‘2025 엑스포스 위협 인텔리전스 인덱스’에 따르면, 사이버 공격자들은 AI를 활용해 피싱 수법을 정교화하고, 주요 기반시설과 제조업을 중심으로 공격을 집중시키고 있는 것으로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