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2025 베트남 국제 프리미엄 소비재전’ 개막…韓 기업 아세안 시장 공략 본격화

무협·코엑스 공동 개최, 나흘간 200여 개사 참가…현지 유통사와 600건 이상 상담 추진

‘2025 베트남 국제 프리미엄 소비재전’ 개막…韓 기업 아세안 시장 공략 본격화 - 산업종합저널 전시회

한국무역협회와 코엑스가 공동 주최하는 ‘2025 베트남 국제 프리미엄 소비재전’이 5일부터 8일까지 베트남 호치민 SECC 전시장에서 열린다. 행사에는 뷰티, 패션, 식품, 인테리어 등 프리미엄 소비재 산업 전반에 걸쳐 약 200개 국내외 기업이 참가한다.

인구 1억 명, 연평균 6.4%에 달하는 경제 성장률을 기반으로 한 베트남 시장은 고급 소비재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이를 겨냥해 한국 중소기업 42개 사가 아세안 각국 바이어들과 1:1 매칭 상담을 진행하며, 인도네시아·싱가포르·말레이시아·인도 등 주요국에서 초청된 300여 개 바이어가 방문한다. 현지 대형 유통사인 WinCommerce(마산그룹 계열)와 Central Retail Vietnam 등도 참가해 총 600건 이상의 상담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2025 베트남 국제 프리미엄 소비재전’ 개막…韓 기업 아세안 시장 공략 본격화 - 산업종합저널 전시회

장석민 무역협회 전무이사는 “베트남은 한국의 3대 수출국이자 7대 수입국으로, 프리미엄 소비재 시장의 성장 가능성이 크다”며 “국내 중소기업의 수출 확대와 현지 진출을 뒷받침할 실질적인 기회를 계속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코엑스는 중소벤처기업부, 대·중소기업·농어업협력재단과 협력해 ‘대·중소기업 동반진출 지원사업’을 3년째 운영 중이다. 올해 행사에서는 ▲현지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대규모 판촉행사 ‘그레이트 세일 페스타(Great Sale Festa)’ ▲한류 콘텐츠 기반의 ‘K-유니버스 특별관’ ▲화장품 중심의 ‘K-뷰티 특별관’ 등 세 가지 테마 전시관도 함께 운영된다.
‘2025 베트남 국제 프리미엄 소비재전’ 개막…韓 기업 아세안 시장 공략 본격화 - 산업종합저널 전시회

조상현 코엑스 사장은 “2만 명 이상의 소비자와 바이어가 전시장을 찾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단순한 제품 전시를 넘어 한-베 및 아세안 지역 간 라이프스타일과 소비 트렌드를 공유하는 교류의 장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앞으로도 국내 기업의 신남방 시장 진출을 위한 전략적 플랫폼으로 계속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밝혔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이재명 대통령, 첫 내각 인선 발표…“위기 극복과 국민통합 이끌 적임자들”

이재명 대통령이 4일 제21대 대통령 취임 직후, 새 정부를 이끌 첫 내각 인선을 직접 발표했다. 이 대통령은 “즉시 업무가 가능한 능력과 전문성, 성과를 낼 수 있는 정치력과 소통 능력을 갖춘 인사를 중용했다”며 각 인사의 배경과 기대를 상세히 설명했다. 김민석 국회의원, 국무총리

정부, 전기차 충전 인프라 확대… 3월부터 본격 지원

환경부는 26일 브리핑을 통해 2025년 전기차 충전시설 지원 사업을 3월 초부터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올해 충전시설 설치 지원 예산은 전년 대비 43% 증가한 6천187억 원으로, 급속충전기 보급에 3,757억 원, 스마트제어 완속충전기 확대에 2천430억 원이 각각 투입된다. 류필무

신용취약 소상공인 대상 정책자금 지원, 최대 3천만 원 직접대출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하 소진공)은 지난 5일 발표된 ‘소상공인·자영업자 맞춤형 지원 강화방안’의 일환으로 ‘저신용 소상공인 자금’을 6일부터 접수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저신용 소상공인 자금’은 민간 금융기관을 통한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신용취약

쓸수록 돌려받는 ‘상생페이백’ 9월 15일 신청 시작

정부가 다음달 15일부터 새로운 소비지원 정책인 ‘상생페이백’을 시행한다. 만 19세 이상 국민이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으며, 2024년에 카드 사용 실적만 있으면 참여할 수 있다. 이번 제도는 국민의 체감 혜택과 소상공인 매출 증대를 동시에 겨냥한 소비 촉진책으로 마련됐다. 상생페이백

2024년 글로벌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 감소… 하반기 회복 전망

글로벌 전자 산업 공급망을 대표하는 산업 협회인 SEMI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전 세계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은 전년 대비 2.7% 감소한 122억 6,600만 in²을 기록했다. 매출은 6.5% 줄어든 115억 달러로 집계됐다. SEMI는 반도체 업계의 재고 조정이 지속되면서 웨이퍼 출하량과 매출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