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올해 기계산업 대내외적 여건 악화 '보합세' 전망

2023년 기계산업 생산 규모 114조원, 경기 침체에도 0.6% 생산 증가

올해 기계산업 대내외적 여건 악화 '보합세' 전망 - 산업종합저널 기계

올해 국내 기계산업이 지정학적 리스크, 고금리 등의 부정적인 요소와 대규모 인프라 투자 등으로 인한 기회요인이 병존해 보합세를 보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한국기계연구원(이하 기계연)에 따르면, 지난해 기계산업은 전방산업의 침체에도 불구하고, 생산은 0.6% 증가한 114조 원, 수출은 1.6% 증가한 614억 달러, 수입은 7.0% 감소한 518억 달러 수준을 기록했다.

2024년 기계산업은 지정학적 리스크, 고금리, 전방산업 침체 등의 부정적 요인과 중동 발 대규모 인프라 투자, 공작기계산업의 신흥시장 수출 확대 등을 종합해 생산, 수출 모두 2023년 대비 보합세를 보일 것으로 보인다. 이 같은 내용은 기계연이 2월 발간한 기계기술정책 제115호 ‘기계산업 2023년 성과와 2024년 전망’에 담겼다.

올해 한국 기계산업은 세계 경제의 제한적인 성장에도 불구하고 2023년 대비 수출액이 대다수 주력 산업에서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 IT 제품 등 전방산업 수요 개선으로 인한 반도체 시장 개선, 중동, 유럽 등 플랜트 수주 확대 등의 긍정적인 부분도 2024년 기계산업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2022년부터 공작기계 내수 수주액 감소, 대중국 규제로 인한 중국 수출 감소 등의 우려가 지속돼 왔다.

업종별로 공작기계 분야는 2023년 공작기계 수주 누계액이 작년 대비 17.1% 감소했고, 전방산업 침체·소비 위축 등으로 전년 대비 21.5%의 수출액 감소를 기록했다. 2024년 공작기계산업은 글로벌 경기둔화와 지정학적 리스크 상존으로 부정적인 요인이 존재하지만, 멕시코, 중동 등 신흥시장 수출 확대로 2023년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플랜트 분야는 중동지역 대형 석유화학 프로젝트가 추진되면서 전년 대비 수주액이 23.8% 증가했고, 중동발 석유화학 플랜트 투자, 메가시티 프로젝트로 2024년에도 호황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건설기계 분야는 대미 수출액 증가로 작년 대비 1.5% 증가한 72.8억 달러를 기록했으며, 건설경기의 장기침체, 건설기계 글로벌 수요 감소 등으로 2024년 생산·수출액이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중동발 인프라 투자, 국내 대형 공공인프라 투자 확대 등이 긍정적인 요인으로 전망된다.

반도체 장비는 2022년 말부터 침체된 반도체 시장이 2023년에도 이어졌으며 전방산업의 반도체 수요 감소와 메모리 재고량 증가가 수출량 감소의 원인으로 분석됐다. 반도체 시장의 수급 조절과 2023년의 기저 효과를 바탕으로 2024년 반도체 장비 시장은 소폭 반등할 것으로 전망된다.

디스플레이 장비 분야는 2023년 대중국 수출이 30.1% 줄어 전체 수출이 27.6% 감소했으며, IT 제품 등 전방산업의 수요 감소가 반영된 것으로 분석됐다. 다만, 주요 글로벌 업체의 OLED 투자 확대로 2024년에는 2023년 대비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주요 기관들은 반도체 등 IT 제품의 수요 회복으로 2023년 대비 2024년 기계산업은 소폭의 성장을 예상했다. 연구진은 전방산업의 기저 효과로 인한 공작기계 산업의 경기회복, 중동 발 인프라 특수 등을 기계산업의 긍정적인 요소로 손꼽았다.

기계연 기계정책센터 길형배 선임연구원은 “2024년 기계산업은 글로벌 지정학적 리스크, 고금리 등의 부정적 요인과 IT 제품의 수요 회복, 중동 등 인프라 투자 확대 등의 긍정적 요인이 상존한다”며 “다만 미국 대선 결과 등 세계 각지의 정치적인 이벤트에 따른 기계산업·제조업의 무역환경 변화가 2024년 기계산업에 큰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바이오 인공장기, 의료 혁명 이끌까… 심장이식 대기자들에게 희망

최근 심근경색으로 쓰러져 병원에 긴급 후송된 환자는, 쓰러진 지 5분이 넘은 바람에 심장이 멈췄다. 이 환자는 보조장치인 ECMO(체외막 산소화장치)를 사용하여 연명했지만, 심장은 결국 10일 후에야 다시 뛰었고, 그 기능은 70%에도 미치지 못했다. 결국 이 환자는 사망에 이르게 되었다.

2025년 소비 시장 5대 키워드 'S.N.A.K.E' 제시

대한상공회의소(이하 대한상의)가 2025년 소비 시장을 이끌 5대 키워드로 ‘S.N.A.K.E’를 선정하며, 경기 둔화와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유통 기업들이 생존 전략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한상의는 7일 발표한 ‘2025 유통산업 백서’를 통해 S.N.A.K.E(Survival, Next

이차전지 제조장비, 차세대 기술로 2030년 50조 원 시장 전망

이차전지 제조장비 산업이 2030년까지 50조 원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특히 건식 전극 공정과 전고체 배터리가 차세대 핵심 기술로 주목받으며, 관련 기술 개발과 글로벌 시장 주도권 확보를 위한 정책적 지원이 요구된다. 한국기계연구원(이하 기계연)은 최근 발간한 ‘기계

급증하는 고령층 취업… 일할 의지는 넘치지만 일자리는 부족

대한민국이 초고령사회로 빠르게 진입하면서 60대 이상 고령층의 노동시장 참여가 급증하고 있다. 2025년에는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20.6%에 달해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전망이며, 이에 따라 60대 이상의 일자리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부상하고 있다. 2024년 9월 기준, 60세 이상 취업자

DPP 도입, 국내 기업에 도전이자 기회

2027년부터 EU가 디지털제품여권(DPP) 제도를 순차적으로 의무화하면서, 국내 기업들의 선제적 대응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5일 'EU 디지털제품여권(DPP) 동향 및 GS1 국제표준 기반 대응 가이드라인'을 발표하며, DPP 정책 동향과 대응 방안을 제시했다. 디지털제품여권(DP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