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플라스틱 산업의 지속가능성, “인프라부터 갖춰야”

물리적 재활용 확대, 생분해 플라스틱 분리배출 기준 필요성 제기

플라스틱은 가공이 쉬우면서도 가볍고 저렴해 주요 산업재로 활용된다. 하지만 환경오염의 주범으로 지목돼 반드시 퇴출하거나 사용량을 줄여야 하는 환경폐기물로 여겨지기도 한다.

최근 전 세계 산업계 최대 이슈는 ‘지속가능성’이다. 온실가스 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탄소중립과 더불어, 자원 절약과 재활용을 통해 지속가능성을 추구하는 순환 경제 모델도 주목받고 있다.

플라스틱 산업도 순환 경제 구축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지난 18일 폐막한 ‘국제플라스틱·고무산업전 2023(KOPLAS 2023)'에서 플라스틱의 부정적 이미지를 벗기고 재활용률을 높이기 위한 플라스틱 업계의 대응을 살펴봤다.

활성화되지 않은 물리적 재활용 비중 높여야

국내에서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하는 방법은 주로 두 가지다. 폐플라스틱 자체를 원료로 재사용하는 물리적 재활용, 소각해 발전소나 제철소 등에서 에너지로 재활용하는 연료화다.

물리적 재활용은 어떻게 이루어질까. 파쇄기·분쇄기·선별기 등 플라스틱 재활용 설비를 전시한 ㈜린드너코리아 부스에서 알아봤다.
플라스틱 산업의 지속가능성, “인프라부터 갖춰야” - 산업종합저널 전시회
파쇄 과정을 거친 플라스틱 폐기물(아래), 플레이크 상태의 플라스틱(위)

업체 관계자는 “생활계·산업계 폐기물이 들어오면 우선 폐플라스틱과 합성소재를 선별하고, 파쇄·세척·분쇄·건조 과정을 거쳐 플레이크 상태로 만든다”고 설명했다. 이 플레이크를 압출기에 넣어 얇은 가닥으로 뽑고, 쌀알 형태로 자르면 재생플라스틱의 원료가 된다.

플라스틱은 재활용만 제대로 된다면 자원으로 재탄생할 수 있다. 하지만 PP(폴리프로필렌), PE(폴리에틸렌), PET(폴리에스테르), PVC(폴리염화비닐) 등 종류가 다양하고, 동일한 소재라도 제품의 재질과 용도에 따라 다루는 기술과 공정이 달라 재활용이 쉽지 않다. 또한, 새 플라스틱 제품의 가격이 낮다보니 재활용 제품의 가격 경쟁력이 떨어진다는 문제도 있다.

플라스틱 업체 관계자 A씨는 “플라스틱 폐기물은 소각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실제 원료로 재활용하는 비중은 극히 미미한 상황”이라면서, “물리적 재활용을 활성화해 플라스틱 산업의 순환구조를 구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친환경 위한 플라스틱 업계의 노력…생분해 플라스틱 사용, 왕겨·커피박 등 폐자원 활용도

㈜일광폴리머는 생분해성 플라스틱, 재활용 원료를 사용한 수축필름, 왕겨·커피박 등 버려지는 자원을 섞은 플라스틱 등 다양한 제품을 선보였다.
플라스틱 산업의 지속가능성, “인프라부터 갖춰야” - 산업종합저널 전시회
왕겨 플라스틱 시제품(아래), 생분해 플라스틱 시제품(위)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일정 온도와 습도가 갖춰지면 미생물에 의해 퇴비로 돌아간다. 흔히 옥수수나 사탕수수를 원료로 하는 PLA(Poly Lactic Acid)등의 식물성 플라스틱만을 떠올리지만, 석유 기반 플라스틱도 생분해가 가능하게 만들 수 있다.

업체 관계자는 “석유계 플라스틱의 분자사슬 결합을 미생물이 침투하기 쉬운 구조로 조정하면 ‘생분해성’을 부여할 수 있다”고 원리를 설명했다.

PCR(Post-Consumer Recycled) 플라스틱은 사용 후 버려진 플라스틱을 재활용해 만든 소재다. 관계자는 “재활용 플라스틱을 30%정도 섞어 제품 포장에 주로 사용하는 수축필름을 만든다”고 말했다.

커피박·왕겨 등 버려지는 자원을 수거해 제품에 활용한 시제품도 선보였다. 관계자는 “석유 기반 플라스틱을 100% 사용하는 것보다 탄소 절감 효과가 있다”고 의의를 밝혔다.

플라스틱 산업의 지속 가능성, 회수·재활용 인프라 및 퇴비화 시설 갖춰야

플라스틱 업체 관계자 B씨는 “친환경 플라스틱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은 늘었지만, 석유계 플라스틱에 비해 가격이 비싸고 원하는 물성을 갖추기도 쉽지 않아 제한적으로 사용된다”고 한계점을 설명했다.

또한, 정부의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없어 플라스틱 업계가 혼란에 빠졌다고 꼬집었다. 재활용이 용이한 소재를 사용해야 할지, 분해가 잘 되는 소재를 사용해야 할지 갈피를 잡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황정준 그린플라스틱 연합 사무총장은 “플라스틱 산업은 ‘탈석유화’를 통해 탄소중립에 기여해야 한다”고 말했다. 생산부터 폐기까지 모든 과정에서 탄소를 배출하는 석유 기반 플라스틱 사용량을 줄이고, 상대적으로 탄소 배출량이 적은 바이오매스 기반 플라스틱을 사용해야 한다는 의미다.

또한,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선별 및 회수 인프라를 갖춰야 한다고 지적했다. 황정준 사무총장은 “가장 많이 사용되는 생분해 플라스틱인 PLA는 타 소재보다 물성을 갖추기 쉽고, 물리적·화학적 재활용이 용이해 회수만 잘 이루어지면 환경 부담을 덜어줄 수 있다”고 말했다.

그린플라스틱연합 소속 기업은 자발적으로 PLA를 회수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일반 재활용 업체는 PLA를 구분할 수 없어 제한적 지역에서 시범 사업으로 운영 중이다. 황 사무총장은 “구별법을 홍보하거나 별도의 마크를 부착하는 등 효율적인 회수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황정준 사무총장은 “플라스틱 산업의 지속 가능성을 위해 생산·회수·재활용 업체의 순환 밸류 체인을 구축해 재활용을 활성화하고,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경우 선별 및 퇴비화 인프라를 우선적으로 갖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바이오 인공장기, 의료 혁명 이끌까… 심장이식 대기자들에게 희망

최근 심근경색으로 쓰러져 병원에 긴급 후송된 환자는, 쓰러진 지 5분이 넘은 바람에 심장이 멈췄다. 이 환자는 보조장치인 ECMO(체외막 산소화장치)를 사용하여 연명했지만, 심장은 결국 10일 후에야 다시 뛰었고, 그 기능은 70%에도 미치지 못했다. 결국 이 환자는 사망에 이르게 되었다.

2025년 소비 시장 5대 키워드 'S.N.A.K.E' 제시

대한상공회의소(이하 대한상의)가 2025년 소비 시장을 이끌 5대 키워드로 ‘S.N.A.K.E’를 선정하며, 경기 둔화와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유통 기업들이 생존 전략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한상의는 7일 발표한 ‘2025 유통산업 백서’를 통해 S.N.A.K.E(Survival, Next

이차전지 제조장비, 차세대 기술로 2030년 50조 원 시장 전망

이차전지 제조장비 산업이 2030년까지 50조 원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특히 건식 전극 공정과 전고체 배터리가 차세대 핵심 기술로 주목받으며, 관련 기술 개발과 글로벌 시장 주도권 확보를 위한 정책적 지원이 요구된다. 한국기계연구원(이하 기계연)은 최근 발간한 ‘기계

DPP 도입, 국내 기업에 도전이자 기회

2027년부터 EU가 디지털제품여권(DPP) 제도를 순차적으로 의무화하면서, 국내 기업들의 선제적 대응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5일 'EU 디지털제품여권(DPP) 동향 및 GS1 국제표준 기반 대응 가이드라인'을 발표하며, DPP 정책 동향과 대응 방안을 제시했다. 디지털제품여권(DP

급증하는 고령층 취업… 일할 의지는 넘치지만 일자리는 부족

대한민국이 초고령사회로 빠르게 진입하면서 60대 이상 고령층의 노동시장 참여가 급증하고 있다. 2025년에는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20.6%에 달해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전망이며, 이에 따라 60대 이상의 일자리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부상하고 있다. 2024년 9월 기준, 60세 이상 취업자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