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협동로봇의 손...물건 키핑하는 다양한 그리퍼

ROBOT WORLD 2022, 다양한 협동로봇 및 부품 선보여

제조업계에서 협동로봇이 활용되면서, 물건을 키핑하는 그리퍼의 역할도 중요해지고 있다.

이에 본지는 최근 일산 킨텍스(KINTEX) 제1전시장에서 열린 2022 로보월드(ROBOT WORLD 2022)에 방문해 그리퍼에 대한 기술 및 동향을 알아봤다.

모듈식 흡착컵으로 제작한 흡착식 그리퍼

협동로봇의 손...물건 키핑하는 다양한 그리퍼 - 산업종합저널 전시회

이번 행사에 참가한 한국뉴메틱 주식회사는 흡착식 ‘매직그리퍼’를 소개했다.

이 제품은 MC10, MC20, MC23, MC25 시리즈로 구성됐다. 특히 모듈식 흡착컵으로 제작해 분해가 가능하며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에 맞게 조립할 수 있다.

한국뉴메틱 주식회사 정성훈 팀장은 “개별 수량에 따라 여러개의 그리퍼를 적용할 수 있어, 제품을 들어올릴 시 하나의 그리퍼가 제품을 놓쳐도 다른 그리퍼가 잡고 있어 놓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또한 매직그리퍼의 사용성과 설비의 효율성을 위해 협동로봇에 스마트 센서 유닛도 탑재했다. 이 유닛의 특징은 하나의 센서 유닛으로 최대 8개의 매직그리퍼 센싱이 가능하며, 용도에 따라 4가지 진공 설정 모드를 통해 시스템을 최적화 할 수 있다는 게 정 팀장의 설명이다.

정 팀장은 “매직그리퍼가 키핑할 수 있는 중량은 교체하는 그리퍼 크기에 따라 적게는 1kg에서 크게는 15kg까지 들어 올릴 수 있다”고 말했다.

사람 손을 닮은 ‘인간형 로봇 핸드’

협동로봇의 손...물건 키핑하는 다양한 그리퍼 - 산업종합저널 전시회

사람을 닮은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이 진화하면서, 협동로봇에 적용되는 그리퍼 또한 진화하고 있다. 이번 전시회에서 주식회사 에이딘로보틱스(AIDIN ROBOTICS)는 인간형 로봇 핸드 ‘에이딘 핸드(AIDIN HAND)’를 선보였다.

이 그리퍼는 사람의 손과 유사한 모양으로 제작해 기존 그리퍼로 할 수 없는 다양한 작업이 가능한 피킹시스템이다.

3가지 자유도를 가진 손가락 디자인은 물건의 형태에 따라 적절한 파지동작을 통해 물건을 키핑할 수 있으며, 손가락 끝에는 힘을 감지하는 센서가 장착돼 과일과 같은 손상이 쉬운 물체를 파손 없이 핸들링 할 수 있다는 게 회사 측의 설명이다.

에이딘로보틱스 정호상 책임연구원은 “현재 이 제품은 인공지능(AI) 알고리즘을 통해 다양한 시스템이 적용되고 있다”면서 “향후 업계 적용 분야로는 제조업에서 세심한 작업 상황이나, 장애인의 의수 등에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바이오 인공장기, 의료 혁명 이끌까… 심장이식 대기자들에게 희망

최근 심근경색으로 쓰러져 병원에 긴급 후송된 환자는, 쓰러진 지 5분이 넘은 바람에 심장이 멈췄다. 이 환자는 보조장치인 ECMO(체외막 산소화장치)를 사용하여 연명했지만, 심장은 결국 10일 후에야 다시 뛰었고, 그 기능은 70%에도 미치지 못했다. 결국 이 환자는 사망에 이르게 되었다.

2025년 소비 시장 5대 키워드 'S.N.A.K.E' 제시

대한상공회의소(이하 대한상의)가 2025년 소비 시장을 이끌 5대 키워드로 ‘S.N.A.K.E’를 선정하며, 경기 둔화와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유통 기업들이 생존 전략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한상의는 7일 발표한 ‘2025 유통산업 백서’를 통해 S.N.A.K.E(Survival, Next

이차전지 제조장비, 차세대 기술로 2030년 50조 원 시장 전망

이차전지 제조장비 산업이 2030년까지 50조 원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특히 건식 전극 공정과 전고체 배터리가 차세대 핵심 기술로 주목받으며, 관련 기술 개발과 글로벌 시장 주도권 확보를 위한 정책적 지원이 요구된다. 한국기계연구원(이하 기계연)은 최근 발간한 ‘기계

급증하는 고령층 취업… 일할 의지는 넘치지만 일자리는 부족

대한민국이 초고령사회로 빠르게 진입하면서 60대 이상 고령층의 노동시장 참여가 급증하고 있다. 2025년에는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20.6%에 달해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전망이며, 이에 따라 60대 이상의 일자리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부상하고 있다. 2024년 9월 기준, 60세 이상 취업자

DPP 도입, 국내 기업에 도전이자 기회

2027년부터 EU가 디지털제품여권(DPP) 제도를 순차적으로 의무화하면서, 국내 기업들의 선제적 대응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5일 'EU 디지털제품여권(DPP) 동향 및 GS1 국제표준 기반 대응 가이드라인'을 발표하며, DPP 정책 동향과 대응 방안을 제시했다. 디지털제품여권(DP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