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데이터리즘 시대···AI로 인한 사회 갈등 방지 위해 제도적 장치 마련해야

하나금융연구소, IT관련 시장 선점 위해 국가 및 기업 간 경쟁 심화

데이터리즘 시대···AI로 인한 사회 갈등 방지 위해 제도적 장치 마련해야 - 산업종합저널 로봇
자료=123RF

데이터와 알고리즘은 메타버스, 자율주행 자동차 등에 적용되며, 인류 삶의 패러다임을 바꿔나가고 있다. 이와 관련해 향후 규모 확대가 예상되는 관련 업계 시장의 주도권을 쟁탈하기 위해 국가 및 기업 간 경쟁이 치열한 상황이다.

최근 하나금융연구소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스마트폰 보급 확대와 IoT기술 및 인공지능(AI) 발전으로 인해 부와 권력의 원천인 데이터리즘 시대를 촉발시켰다.

데이터리즘(Datarithm)은 데이터(Data)와 알고리즘(Algorithm)의 합성어이며, 데이터와 알고리즘 기술이 부와 권력의 원천이 된다는 의미로 하나금융연구소가 재정의 했다.

현재 다양한 IT기업들은 부와 권력을 얻기 위해 DT, 클라우드 등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고 있고, 초거대 AI 개발 등 알고리즘 기술 개발에도 주력 중이다.

관련 내용을 살펴보면, 메타버스는 로블록스, 마인크래프트 등 게임사가 주도 중인 시장에 애플, 아마존 등 빅테크 기업이 참여하면서 주도권 선점을 위한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자율주행은 GM, 현대, 테슬라 등 전통적인 자동차 제조사뿐만이 아닌, 전자업체인 애플, 소니 등도 관련 업계에 뛰어들고 있다.

반면, 일각에서는 데이터와 알고리즘 기술 발전이 사회 갈등을 조장한다는 내용도 제기되고 있다.

수집한 데이터의 편향된 사용은 AI의 인종차별, 불공정 행위 등 사회 갈등을 야기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AI 기술은 피싱, 가짜뉴스 등과 같이 불법적인 범죄에 악용될 우려가 있으며, 이용자에게 편향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이용자의 지식 및 가치관 확대를 방해할 수 있다는 게 보고서의 분석이다.

보고서는 AI 품질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데이터 및 AI 모델 검증 기준, AI 윤리 원칙 등 제도적 장치 마련을 통해 예상 가능한 사회 갈등을 미연에 방지할 필요가 있다고 봤다.

하나금융연구소 이기홍 연구위원은 ‘향후 AI알고리즘의 편향성 문제를 줄이기 위해 사회, 인종, 지역 등 민감한 영역에 대해 윤리적 검증 기준이 필요하다’면서 ‘부와 권력의 원천인 데이터에 대한 정보 생성 주체의 주권 보호와 기업들의 남용을 막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지운 기자 기자 프로필
김지운 기자
jwkim@industryjournal.co.kr


0 / 1000


많이 본 뉴스

이재명 대통령, 첫 내각 인선 발표…“위기 극복과 국민통합 이끌 적임자들”

이재명 대통령이 4일 제21대 대통령 취임 직후, 새 정부를 이끌 첫 내각 인선을 직접 발표했다. 이 대통령은 “즉시 업무가 가능한 능력과 전문성, 성과를 낼 수 있는 정치력과 소통 능력을 갖춘 인사를 중용했다”며 각 인사의 배경과 기대를 상세히 설명했다. 김민석 국회의원, 국무총리

정부, 전기차 충전 인프라 확대… 3월부터 본격 지원

환경부는 26일 브리핑을 통해 2025년 전기차 충전시설 지원 사업을 3월 초부터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올해 충전시설 설치 지원 예산은 전년 대비 43% 증가한 6천187억 원으로, 급속충전기 보급에 3,757억 원, 스마트제어 완속충전기 확대에 2천430억 원이 각각 투입된다. 류필무

신용취약 소상공인 대상 정책자금 지원, 최대 3천만 원 직접대출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하 소진공)은 지난 5일 발표된 ‘소상공인·자영업자 맞춤형 지원 강화방안’의 일환으로 ‘저신용 소상공인 자금’을 6일부터 접수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저신용 소상공인 자금’은 민간 금융기관을 통한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신용취약

쓸수록 돌려받는 ‘상생페이백’ 9월 15일 신청 시작

정부가 다음달 15일부터 새로운 소비지원 정책인 ‘상생페이백’을 시행한다. 만 19세 이상 국민이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으며, 2024년에 카드 사용 실적만 있으면 참여할 수 있다. 이번 제도는 국민의 체감 혜택과 소상공인 매출 증대를 동시에 겨냥한 소비 촉진책으로 마련됐다. 상생페이백

2024년 글로벌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 감소… 하반기 회복 전망

글로벌 전자 산업 공급망을 대표하는 산업 협회인 SEMI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전 세계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은 전년 대비 2.7% 감소한 122억 6,600만 in²을 기록했다. 매출은 6.5% 줄어든 115억 달러로 집계됐다. SEMI는 반도체 업계의 재고 조정이 지속되면서 웨이퍼 출하량과 매출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