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다이캐스팅 산업의 재도약, 혁신적인 사고 및 기술 요구

금속산업대전 부대행사 세미나서 다이캐스팅 전문기술 발표

다이캐스팅 산업의 재도약, 혁신적인 사고 및 기술 요구 - 산업종합저널 전시회
한국다이캐스팅학회 이인형 학회장

다이캐스팅의 전문적 정보를 공유하고 제조업 산업 전체의 발전을 위한 자리가 마련됐다.

22일 한국다이캐스트협동조합이 주관한 ‘다이캐스팅(Die Casting) 전문기술 세미나’가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KINTEX) 제1전시장에서 진행 중인 ‘금속산업대전 2022(KOREA METAL WEEK 2022)’의 부대행사로 열렸다.

한국다이캐스팅학회 이인형 학회장은 완성차에 대한 요구사항의 변화가 일어나고 있음을 이야기하며 “내연기관 자동차와 시장을 공유하는 전기자동차의 목표는 가격 경쟁력 확보와 경량화”라고 밝혔다.

이인형 학회장이 제시한 가격 경쟁력 확보와 경량화의 핵심은 부품의 일체화다. 그는 관련 장비에 대한 투자를 늘려 직접 생산에 돌입한 완성차 업체의 동향을 설명하며 “차량을 3등분 해 일체화하고자 하는 새로운 시도들이 나타나고 있다”고 했다.

경량화를 위해서는 여러 부품을 하나의 부품으로 주조하거나 합쳐 대형부품으로 일체화 해야하며 이때 고진공 방식을 사용해 초고속으로 제조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학회장은 부품을 일체화해 대형부품을 만들 경우 중량 증가로 인한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음을 덧붙이며, “고품질의 다이캐스트를 사용해야 용접 시 실패율도 줄일 수 있다”라고 고진공 방식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후 ‘로봇활용 제조 혁신 지원사업-다이캐스팅 공정 & 로봇도입’를 주제로 발표를 진행한 한국로봇산업진흥원 김서현 사업단장은 로봇 보급 확대가 ▲고용 확대 여건 마련 ▲작업환경 및 업무수준 향상 ▲신제품 및 서비스 창출 등의 효과를 낼 것이라고 했다.

이어 현재 다이캐스팅 산업의 상황을 “불안정한 인력수급의 문제와 불확실한 시장 상황에 직면했다”고 진단하며, 해결책으로 로봇도입을 제시했다.

▲이형제 분사 ▲금형 세척 ▲금형 관리 ▲주물 적재 ▲주물 후처리 및 검사 등에 현실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이 김서현 사업단장의 설명이다.

로봇도입으로 사업 적용에 성공한 사례를 발표한 그는 “2016년부터 2020년까지 178개 기업에 로봇도입을 지원한 결과, 평균적으로 생산성은 71% 향상, 원가는 45% 감소했다” 고 덧붙였다.
박윤서 기자
yspark@industryjournal.co.kr


0 / 1000


많이 본 뉴스

이재명 대통령, 첫 내각 인선 발표…“위기 극복과 국민통합 이끌 적임자들”

이재명 대통령이 4일 제21대 대통령 취임 직후, 새 정부를 이끌 첫 내각 인선을 직접 발표했다. 이 대통령은 “즉시 업무가 가능한 능력과 전문성, 성과를 낼 수 있는 정치력과 소통 능력을 갖춘 인사를 중용했다”며 각 인사의 배경과 기대를 상세히 설명했다. 김민석 국회의원, 국무총리

정부, 전기차 충전 인프라 확대… 3월부터 본격 지원

환경부는 26일 브리핑을 통해 2025년 전기차 충전시설 지원 사업을 3월 초부터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올해 충전시설 설치 지원 예산은 전년 대비 43% 증가한 6천187억 원으로, 급속충전기 보급에 3,757억 원, 스마트제어 완속충전기 확대에 2천430억 원이 각각 투입된다. 류필무

신용취약 소상공인 대상 정책자금 지원, 최대 3천만 원 직접대출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하 소진공)은 지난 5일 발표된 ‘소상공인·자영업자 맞춤형 지원 강화방안’의 일환으로 ‘저신용 소상공인 자금’을 6일부터 접수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저신용 소상공인 자금’은 민간 금융기관을 통한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신용취약

쓸수록 돌려받는 ‘상생페이백’ 9월 15일 신청 시작

정부가 다음달 15일부터 새로운 소비지원 정책인 ‘상생페이백’을 시행한다. 만 19세 이상 국민이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으며, 2024년에 카드 사용 실적만 있으면 참여할 수 있다. 이번 제도는 국민의 체감 혜택과 소상공인 매출 증대를 동시에 겨냥한 소비 촉진책으로 마련됐다. 상생페이백

2024년 글로벌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 감소… 하반기 회복 전망

글로벌 전자 산업 공급망을 대표하는 산업 협회인 SEMI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전 세계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은 전년 대비 2.7% 감소한 122억 6,600만 in²을 기록했다. 매출은 6.5% 줄어든 115억 달러로 집계됐다. SEMI는 반도체 업계의 재고 조정이 지속되면서 웨이퍼 출하량과 매출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