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지식퀴즈] '반도체 집적회로 성능이 2년 주기로 2배 증가한다'는 이 법칙은?

반도체 산업을 지배한 ‘이 법칙’, 언제까지 유효한가

[산업지식퀴즈] '반도체 집적회로 성능이 2년 주기로 2배 증가한다'는 이 법칙은? - 산업종합저널 전자
[산업지식퀴즈] '반도체 집적회로 성능이 2년 주기로 2배 증가한다'는 이 법칙은? - 산업종합저널 전자
[산업지식퀴즈] '반도체 집적회로 성능이 2년 주기로 2배 증가한다'는 이 법칙은? - 산업종합저널 전자
[산업지식퀴즈] '반도체 집적회로 성능이 2년 주기로 2배 증가한다'는 이 법칙은? - 산업종합저널 전자




이 법칙은 1965년 인텔의 공동 설립자 중 한 사람이 주장한 것으로, '반도체 집적회로 성능은 2년 주기로 2배 증가한다'는 말에서 유래한 법칙인데요. 실제 물리법칙은 아니지만 제품 개발 트렌드에 있어서 2년 주기로 메모리 용량 혹은 CPU 속도가 발전해왔습니다.

글로벌 파운드리 업체들은 반도체를 더 작게, 더 빽빽하게 만들기 위해 기술경쟁을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초미세공정의 기술 난이도가 높아지면서 더는 이 법칙이 유효하기 힘든 상황에 다다르고 있다는 일각의 시선도 있는데요.

반도체 메모리칩의 성능이 18개월에서 24개월마다 2배씩 증가한다는 ‘이 법칙’은 무엇일까요?

1. 머피의 법칙(Murphy's Law) 2. 무어의 법칙(Moore's law) 3. 옴의 법칙(Ohm's law)

정답은 2번 무어의 법칙(Moore's law)입니다.

인텔의 공동 설립자 고든 무어가 주장한 법칙으로 미세공정 기술 경쟁이 심화되며 기술적·경제적 한계로 인해 무어의 법칙이 종말에 다다랐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는 상황입니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산업지식퀴즈] 리튬 이온 배터리 화재 발생의 원인으로 꼽히는 이것은?

빠른 충전과 가벼운 무게로 다양한 전자제품에 사용되는 리튬 이온 배터리는 양극과 음극, 리튬 이온의 이동을 돕는 전해액, 양극과 음극을 분리하는 분리막으로 이뤄졌는데요. 배터리는 리튬 이온의 이동으로 작동합니다. 충전과 방전의 반복으로 리튬 이온이 양극표면에 쌓이면 금속 결정이 나뭇

[산업지식퀴즈] 실물을 가상세계에서 동일하게 구현하는 ‘이 기술은?

‘이것’은 현실에 존재하는 사물이나 공간을 가상세계에서 구현하는 기술을 뜻하는데요. 디지털 공간에서 모의시험을 통해 현실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예측하고 예방할 수 있습니다. 현실세계의 상태를 가상세계에서도 동일하게 구현해 쌍둥이라는 의미를 포함하는 ‘이것’은 가상에서 독립된

[산업지식퀴즈] 작업자 실수로 인한 사고, 방지하는 시스템인 ‘이것’은?

건설현장 작업자 A씨가 현장 작업을 위해 안전벨트를 착용한 상황. 그러나 작업 중 안전벨트 클립이 갑자기 풀립니다. 같은 시간, 현장의 안전관리자는 이 상황을 휴대폰 앱을 통해 전송 받고 현장 작업을 잠시 중단시킵니다. ‘이것’은 설비나 장비 등에 센서나 프로그램을 설치한 뒤, 이상 징

[산업지식퀴즈] 전자제품 회로에 전류를 일정량 공급하는 ‘댐’ 역할을 하는 ‘이것’은?

스마트폰, 카메라, 디스플레이, 컴퓨터 등의 디지털 기기는 이제 생활의 필수품이 될 정도로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제품입니다. 전자 제품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제품을 이루는 부속품들도 덩달아 주목받고 있는데요. ‘이것’은 전자 제품의 회로에 전류가 흐르도록 돕는 콘덴서 역할을 하는 제

[산업지식퀴즈] X, Y, Z 각 축별로 움직일 수 있는 로봇의 이름은?

‘이것’은 직각을 교차해 움직이는 로봇으로써 X, Y, Z 각 축별로 이동할 수 있는데요. 최근 공장들의 스마트팩토리 전환 추세에 따라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직선으로만 움직이기 때문에 활동 범위가 한정적인데요. 이를 위해 사람의 팔을 닮은 다관절 로봇(로봇암)을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