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상용화 더딘 메타물질…기술·기업 지원 규모 확대해야

31일 '미래 혁신을 선도하는 초격차 기술, 메타물질 포럼' 개최

메타물질의 상용화를 논하기 위해 전문가들이 머리를 맞댔다. 그동안 정부 정책에 힘입어 기초연구 데이터는 충분히 축적된 상황이지만, 상용화가 더디자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서다.

메타물질이란 금속이나 부도체 등 자연계에 존재하는 물질에 미터(m)~나노미터(nm)단위의 인공 구조물을 활용해, 자연계에 존재하지 않는 물성을 구현하는 차세대 소재다. 통신을 비롯해 국방, 반도체, 우주 등 다양한 산업에서 고부가가치 기술로 평가 받는다. 메타물질이 구현된 대표적 사례로 '투명망토'가 있다.

상용화 더딘 메타물질…기술·기업 지원 규모 확대해야 - 산업종합저널 동향


31일 오후 국회의원회관에서는 국민의힘 하태경·김영식·신원식 의원,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주최로 '미래 혁신을 선도하는 초격차 기술, 메타물질 포럼'이 열렸다.

포럼에서는 현재까지 축적한 메타물질 기초 연구를 상용화로 끌어올리기 위해선, 산·학·연·군의 연계와 함께 민간 투자를 촉진해야 한다는 의견 등이 나왔다.

기조 발제에 나선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정병선 원장은 먼저, 메타물질 뿐만 아니라 한국의 기술개발에 관한 전반적 현황이 상용화 길목에서 좀처럼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짚었다.

정 원장이 준비한 발표 자료를 보면, 한국의 우수특허 비율(8.9%)은 선진국인 독일, 일본, 중국, 미국에 이어 5위 수준이다. 1위 독일(28.9%)과는 20%p의 차이가 난다. 기술이전 비율도 2016~2020년까지 5년동안 30%대로 거의 멈춰 있는 상태다.

메타물질도 마찬가지였다. 정 원장 자료에 따르면 과학기술정통부의 '글로벌프론티어 사업'을 통해 지난 2010년부터 14년 동안 약 8천 건의 특허를 비롯해 9천 건의 논문 발표 등의 기초연구 성과를 창출했지만, 기설이전과 기술이전료 각각 292건, 410억 원 수준에 그쳐있다. 창업의 경우 72곳에 불과했다.

메타물질 활성화를 위해서는 기술의 수준과 기업의 규모를 확대해야 한다는 게 정 원장의 생각이다. 실험실 수준의 기술을 상용화 할 수 있게 고도화하고, 관련 스타트업을 유니콘을 넘어 다카콘 급으로 성장할 수 있게 도와야 한다는 것이다.

국내외 메타물질을 활용해 사업화 등에 성공한 사례를 든 정병선 원장은 "결국은 기초연구 성과 중에서 딥테크 아이템을 사전에 발견해 산학연이 힘을 합쳐야한다"고 제언했다. 기초·원천 연구 성과 가운데 성장 가능성이 높은 딥테크 아이템을 발굴하고 투자를 이어가야 한다는 얘기다.

정 원장은 산학연군의 메타물질 협의체를 마련하고 민간 투자를 촉진하는 등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그는 "먼저, 국방이나 해양, 우주, 바이오 분야 등에서 산학연군을 합친 넓은 단위에서 공통 수요를 먼저 파악한 뒤, 대규모 연구 개발 투자와 실제 사업화 등 민간 투자까지 유도해야 한다"라며 "전국 단위의 민간 대규모 투자 촉진 프로그램을 만들어 민간의 초기 투자도 유인해야 한다"고 말했다.

상용화 더딘 메타물질…기술·기업 지원 규모 확대해야 - 산업종합저널 동향


파동에너지극한제어연구단의 이학주 단장도 같은 의견을 냈다. 그는 "결국, R&D 예산을 활용해 지식이 축적돼 있는 현재 상황에서 메타물질이 혁신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말했다. 원천 기술에서 머물것 만이 아니라, 실생활의 문제를 혁신할 수 있을 제품이나 기술 등이 나와야 한다는 말이다.

그는 "세계적으로 메타물질 분야는 아직 발전기다. 국내 R&D역량은 미국과 중국에 이어 세계 3위 수준이고, 일부 분야에서는 우위에 있는 분야도 있다고 생각한다"라며, 시장 선점과 초격차 구현 정책이 필요하다고 했다.

다만, 이 단장은 투자만이 상용화를 이끌 핵심 사항은 아니라는 취지의 의견도 내놨다. 패널 토론에서 이학주 단장은 "현재 투자 측면에서 보면 몇 십억 수준까지 올라왔지만, 메타물질이 성과를 보여줘야 할 때라고 생각한다"라며 "상용화 수준은 아직 덜 성숙한 상황이라, 투자금 부족만이 문제는 아니라고 본다"라고 했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KIMEX 2022] 새로운 기술 탑재한 계측기 쏟아진다

전자 및 통신 분야를 비롯해 산업 전반이 빠르게 급변하면서 계측시스템 분야도 새로운 기술을 적용한 계측기들이 쏟아지고 있다. 수 많은 계측기들 중 사용 목적에 적당한 계측기를 선택하는 일은 쉽지 않다. 사용자의 작은 실수나 사용 여건에 따라 장비 이상이 발생하면 난감하다. 무엇보다

JIMTOF 2022, 일본 도쿄국제전시장서 오는 11월 개최

일본공작기계공업회(JMTBA)가 24일 일산 킨텍스(KINTEX) 제1전시장 세미나룸에서 일본 도쿄에서 열리는 짐토프 2022(JIMTOF 2022, 짐토프) 개요 설명을 위한 기자간담회를 열었다. 일본 공작기계 관련 전시회인 짐토프는 일본 도쿄 빅사이트(도쿄국제전시장)에서 개최하며, 서 전시동, 동 전시동을 비

탈탄소 정책에 높아지는 탄소장벽… CBAM·GSSA 전망과 과제

유럽연합(EU)과 미국의 탈탄소 정책으로 탄소 무역장벽이 점차 높아지는 가운데, 국내 기업을 보호하기 위한 장기적 관점의 정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6일 오후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는 ‘글로벌 탄소 무역장벽 현황과 과제’를 주제로 세미나가 열렸다. 이날 ‘글로벌 탄소 무

AI 고도화에 악용사례 속출…"제도적 방안 마련해야"

인공지능(AI) 기술을 악용한 범죄 사례가 늘면서, 이를 올바르게 활용하기 위해 제도·기술적 대응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는 지난달 25일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인공지능의 악용 사례, 딥페이크 기술과 과제’ 보고서를 내놓았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

고용부, 2022년 상반기 협약임금 인상률 5.3%로 잠정 집계

올해 상반기 협약임금 인상률이 5.3%로 나타났다. 최근 고용노동부는 2022년 1월부터 6월까지 상반기 임금결정 현황조사에 대한 잠정 결과를 발표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르면, 이번 발표치는 100인 이상 사업체 총 1만723개소 중 33.7%인 3천613개 사업체에 대한 잠정치다. 고용노동부가 올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