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한국 기업, “효율성 및 비용 절감 이유로 AI 도입”

한국 기업, “효율성 및 비용 절감 이유로 AI 도입” - 산업종합저널 동향

글로벌 기업이 AI(인공지능) 기술 발전으로 인한 높아진 접근성 때문에 AI를 도입하지만, 한국 기업은 'AI기술, 효율성과 비용 절감' 목적으로 도입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전 세계 기업의 인공지능(AI) 도입 현황을 조사한 ‘2022년 AI 도입 지수’ 연례 보고서를 발표한 IBM에 따르면, 효율성 제고 및 비용 절감이 국내 기업의 AI 도입의 주요 동력으로 나타났다. 국내 응답자들은 ‘IT운영 효율성 제고’(40%), ‘비즈니스 프로세스 효율성 제고’ (39%) 및 ‘비용 절감’(39%)을 주요 도입 요인으로 꼽았다.

반면, 글로벌의 경우 ‘AI 발전으로 인해 높아진 접근성(43%)’, ‘비용 절감 및 주요 업무 프로세스 자동화(42%)’, ‘AI가 탑재된 표준 상용 비즈니스 애플리케이션 수 증가(37%)’를 AI를 도입하는 주요 요인으로 꼽아 국내와 차이를 보였다.

보고서는 기업 내 AI 도입을 저해하는 주요 요소로 ‘데이터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특히 국내 기업의 경우, 효율적 데이터 관리를 위한 데이터 패브릭 아키텍처를 ‘사용 중’ 또는 ‘사용 예정’이라 답한 응답자 비율이 44%로, 61%를 기록한 글로벌 기업 평균 대비 낮은 수치를 보여 효율적인 데이터 관리 역량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기업 중 AI를 적극적으로 도입하거나, 도입을 검토 중이라고 한 응답자 중 88%는 데이터가 위치한 어느 곳에서든 AI 프로젝트를 구축하고 운영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답해, AI 도입에 있어 데이터 관리의 중요성을 시사했다.

그 밖에도 한국을 포함한 전 세계 응답자들은 ‘AI 기술, 지식 및 전문성 부족(45%)’을 AI 도입을 저해하는 요소로 꼽았다. ‘AI 모델 개발을 위한 도구 및 플랫폼 부족(39%)’, ‘지나치게 높은 가격(33%)’이 그 뒤를 이었다.

조사 결과를 보면, 올해 전 세계 기업 내 AI 도입율은 2021년 대비 13% 늘어났다. 다만, AI를 자사 비즈니스에 ‘적극적으로 도입 (Actively deployed)’하고 있다고 답변한 국내 기업은 22%로, 글로벌 평균 34% 대비 낮은 수치를 보였다. 그러나, 국내 기업 응답자의 46%는 ‘AI 도입을 검토(exploring the use of AI)’ 중이라고 답했다.

아울러 국내 임직원수 1천 명 이상의 기업 93%가 현재 AI를 적극적으로 도입했거나 또는 도입을 검토 중이라고 말한 반면, 1천 명 이하 기업의 경우 57%만이 AI를 적극적 도입 또는 도입을 검토 중이라고 답해, 기업 규모에 따라 AI 도입 격차가 컸다.

또한, 국내 IT 의사결정권자들은 신뢰할 수 있는 AI 구축을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에 따르면, AI를 적극적 도입하거나 도입을 검토 중인 국내 기업 응답자 10명 중 8명 이상이 AI가 내린 결정 과정을 기업이 설명할 수 있는 것이 중요하다고 답했다. 동시에 현재 AI 결정에 대해 설명하지 못하거나(66%) AI 전략 부재(66%) 한 것이 기업이 신뢰할 수 있는 AI를 구축하는데 있어 도전 과제라고 답했다.

화두가 되고 있는 ESG를 위한 AI 도입 현황에 대해서도 소개했다. 전 세계 응답자 3명 중 2명이 지속가능성 목표 달성을 위해 AI를 도입했거나 혹은 도입할 계획이 있다고 답했다. 한국 응답자 중 약 40%는 AI가 향후 ESG 및 지속가능성 관련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42%는 AI가 비즈니스 프로세스 효율성을 더욱 제고할 것이라고 답했다. 더불어 41%의 응답자는 AI를 통해 방대한 데이터로부터 인사이트를 추출, 희망하는 지속가능성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답해, 기업 내 AI의 역할에 대한 긍정적인 기대감을 시사했다.

최석재 한국IBM 데이터 & AI 기술영업총괄 상무는 “이번 보고서를 통해 세계적으로 AI 기술의 도입을 적극적으로 활용 또는 검토 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으며, 점차 많은 기업이 지속가능 경영에 AI를 활용하고자 하는 움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IBM은 AI 분야에서 축적해 온 글로벌 리더십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보다 많은 기업이 AI를 전략적,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계속 지원해 갈 것”이라고 말했다.

IBM의 의뢰로 모닝컨설턴트(Morning Consultant)가 수행한 이번 조사는 AI의 도입 현황 및 필요성과 기업이 마주한 도전 과제를 제시했다. 자동화와 신뢰할 수 있는 AI, 지속가능성, 데이터 전략 등 인공지능과 관련한 전 세계 기술 트렌드도 소개했다. 이번 조사는 한국 500명을 포함, 전 세계 기업 IT 분야 의사결정권자 7천502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AI 엑스포](주) 바로에이아이, 수냉식 AI 연구 하드웨어...“AI 개발에 GPU가 중요”

10일 열린 ‘2023 국제인공지능대전(AI EXPO KOREA)’에서 인공지능 솔루션 전문 기업인 (주)바로에이아이가 수냉각 서버 하드웨어 솔루션을 제시했다. 이 업체는 대규모 연구를 위한 수냉각 하드웨어를 스테이션과 서버 랙, 두 종류로 구성해 출품했다. 바로에이아이 관계자는 “AI연구가 심화

인공지능이 편집해 준 사진은 어떨까?

생성형 인공지능(AI)이 적용된 어도비(Adobe) 포토샵(Photoshop)은 사용자의 명령어에 맞춰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수준에 이르렀다. 위 사진은 포토샵에 탑재된 AI를 활용해 편집한 사진이다. 비어있는 공간에 “작품을 보고 있는 관람객”이라는 명령어를 내어 얻어냈다. 포토샵의 AI 기능은 어

[안전보건전시회] 산업현장에 AI는 어떻게 쓰일까

AI(인공지능)을 활용한 산업현장 안전관리 솔루션이 ‘2023 국제안전보건전시회(Korea International Safety&Health Show 2023, 이하 안전보건전시회)’에 출품됐다. 해당 솔루션은 고소작업 시 근로자의 안전을 위해 필수로 착용해야 하는 안전대와 안전모 등, 개인장비 착용 여부를 AI기반 영상인식

폭격 명령 막자 통신 타워 파괴한 AI

얼마 전, 인공지능이 통제하는 미 공군의 드론이 가상훈련에서 최종 결정권을 쥔 인간 조종자를 살해하는 결론을 내린 일이 발생했다. 조선일보가 2일 영국 가디언과 관련된 군사 블로그를 인용해 보도한 내용에 따르면, 가상훈련은 적의 지대공미사일 시스템을 식별해 파괴하고 명령 수행에 방해되

초상화 그리는 인공지능 로봇, 대화도 가능

“안녕하세요. 저는 얼굴을 그려주는 화가 로봇이에요. 앞에 있는 카메라를 봐주세요. 좀 턱을 아래로 당겨서 카메라와 각도를 맞춰주세요. 저는 딥러닝 기반의 상상력과 판단력으로 그림을 그려요. 얼굴의 특징을 찾아내고 이를 기반으로 새로운 그림을 창조해요” 기자와 마주한 인공지능 로봇이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