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RD News

[카드뉴스] 경제성장률 둔화세, 향후 대외여건 따라 점차 완화할 가능성 높아

최근 전 세계는 6개월간 지속 중인 우-러간 분쟁과 최근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 시행으로 인해 국제 원자재 가격 및 물가지수에 대한 큰 혼란을 겪고 있는데요. 국내 경기 또한 상승세 둔화가 이어지고 있는 실정입니다. 최근 산업연구원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경기 2분기 실질GD

동향
김지성 기자
2022.08.24

[카드뉴스] 온실가스 감축 목표 위한 협의체 구성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2050 탄소중립을 목표로 설정한 정부는‘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도(이하 배출권거래제)(GHG Emissions Trading Scheme)’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배출권거래제의 활성화를 위해 환경부는 15일, ‘배출권거래제 선진화 협의체(이하 협의체)’를 통해 이를 시행하고 있는 기업의

에너지
박윤서 기자
2022.08.17

[카드뉴스] 한국, 반도체 칩4 동맹 두고 美·中 외줄타기

한국 정부가 미국이 주도하는 반도체 공급망 협의체인 '칩4' 예비회의에 참여한다고 8일 밝혔습니다. 칩4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지난 3월 한국과 일본, 대만에 제안한 반도체 동맹입니다. 이 동맹은 미국이 팹리스, 대만과 한국은 파운드리, 반도체 소재는 일본이 담당해 각 국이

정책
강현민 기자
2022.08.10

[카드뉴스] 공작기계산업, 탄소중립 및 전기차 등 수요 변화에 대한 새로운 환경 직면

최근 자동차, 반도체, 전기전자, 항공, 선박 등에는 다양한 스마트 기술이 적용되면서, 이를 구성하는 정교한 부품에 대한 품질이 중요해지고 있는데요. 특히, 이를 제조하는 공작기계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산업연구원(KIET)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공작기계 시장은 201

기계
최 준 기자
2022.08.03

[카드뉴스] 韓 시스템 반도체 강대국 도약할까…3나노 반도체 양산 시작

국내 대기업이 3나노(nm) 반도체 양산에 성공했습니다. 메모리반도체가 아닌 시스템반도체에서의 성과로, 향후 한국의 반도체 산업 및 관련 소부장 기업에 새로운 기회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산업통상자원부 이창양 장관은 25일 해당 대기업의 경기 화성캠퍼스 V1라인에서 열린 ’3나노 파운

부품
박윤서 기자
2022.07.27

[카드뉴스] 러, 국영 기업 가스프롬···유럽에 천연가스 ‘불가항력 선언’

지정학적 분쟁으로 인해 우·러 간 전쟁이 장기화되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민간 거주 지역을 중심으로 반인륜적인 게릴라 폭격을 진행하면서, 유럽 내 입지가 좁아지고 있는 상황인데요. 이 같은 상황에서 로이터 통신 등 주요 외신은 18일(현지시각) 러시아 국영 기업

동향
박재영 기자
2022.07.20

[카드뉴스]인력난 허덕이는 中企…중기중앙회 "청년 눈높이 맞춘 채용 필요"

중소기업이 인력난에 허덕이고 있습니다. 최근 중소기업중앙회(이하 중기중앙회)가 일자리 플랫폼에 등록된 우수 중소기업 1천 개사를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 결과, 응답 기업 과반수(57%)가 인력 부족을 호소했는데요. 이는 지난해 설문 대비 13.6%p 오른 수치입니다. 응답 기업 70.7%는

동향
강현민 기자
2022.07.13

[카드뉴스] 7월부터 전기요금 인상···다양한 대책 마련 필요

원유, 석탄, 가스 등 화석연료 기반으로 전력을 생산하는 한국은 최근 전 세계적인 에너지 비용 상승세로, 7월 전기요금이 인상됐는데요.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각 정부 부처는 다양한 대책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특히 지난 4일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에서는 발전 현장에서 생산되는 데이터를 활용한 사

전기
김지성 기자
2022.07.06

[카드뉴스] 바닷물에 녹는 플라스틱?…산업부 "국내 실증화 첫 성공"

자그마치 500년. 환경오염의 주범 중 하나인 플라스틱 폐기물이 자연으로 돌아가는 데 걸리는 시간이라고 합니다. 환경부 자료에 따르면 한국의 플라스틱 배출량은 세계3위로 1인당 연간 배출량은 88kg에 달한다고 하는데요. 석유에서 추출한 원료를 결합해 만든 기존의 플라스틱은 저렴한 가격과

동향
강현민 기자
2022.06.29

[카드뉴스] 누리호, 30여 년 오랜 숙원 이뤘다

한국의 독자 기술로 개발한 누리호가 21일 발사에 성공하면서, 국내 우주개발 30여 년의 오랜 숙원을 이뤘는데요. 누리호 발사 성공 이전, 한국의 우주 개발 산업은 국내 최초 인공위성인 우리별 1호를 기점으로 위성 위주의 개발이 발달했습니다. 하지만 이번 누리호 발사 성공으로 인해 본격적인

정책
박재영 기자
2022.06.22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