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뉴스] 불안한 국제정세, ‘알루미늄 수급 문제無…가격 상승 주시해야’

산업부 ‘수입보험 지원품목 지정 및 금융지원 한도 최대 1.5배까지'

[카드뉴스] 불안한 국제정세, ‘알루미늄 수급 문제無…가격 상승 주시해야’ - 산업종합저널 동향
[카드뉴스] 불안한 국제정세, ‘알루미늄 수급 문제無…가격 상승 주시해야’ - 산업종합저널 동향
[카드뉴스] 불안한 국제정세, ‘알루미늄 수급 문제無…가격 상승 주시해야’ - 산업종합저널 동향
[카드뉴스] 불안한 국제정세, ‘알루미늄 수급 문제無…가격 상승 주시해야’ - 산업종합저널 동향
[카드뉴스] 불안한 국제정세, ‘알루미늄 수급 문제無…가격 상승 주시해야’ - 산업종합저널 동향
[카드뉴스] 불안한 국제정세, ‘알루미늄 수급 문제無…가격 상승 주시해야’ - 산업종합저널 동향
[카드뉴스] 불안한 국제정세, ‘알루미늄 수급 문제無…가격 상승 주시해야’ - 산업종합저널 동향








최근 중국 주요 알루미늄 생산지인 바이써市의 코로나19 집단 감염에 따른 봉쇄조치, 러시아-우크라이나 분쟁으로 알루미늄의 가격과 수급 불안정이 우려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경우 수급보다 가격 상승을 주시해야 한다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의 글로벌공급망센터(GVC)가 지난 3일 발표한 ‘글로벌 공급망 인사이트’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러시아 등 국제 정세 불안에 따른 한국의 알루미늄 공급 영향은 미미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중국과 러시아로부터 들여오는 알루미늄 수입량이 적기 때문인데요.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알루미늄 잉곳(괴) 수입은 인도45.3%, 호주 17.4%, 말레이시아 6.9% 등으로 수입국이 다원화돼 있습니다. 중국 수입의 경우 0.2%로 상대적으로 비중이 낮은 편입니다.

알루미늄 판재류·박판의 경우 중국으로부터 수입 비중이 높으나, 알루미늄 잉곳으로 판재류·박판 생산이 가능하기 때문에 결론적으로 알루미늄 수급에 큰 문제는 없을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다만, 알루미늄 가격이 크게 오르고 있는 점이 우려된다고 합니다. 최근 전기차 생산량 증가 요인과 러시아-우크라이나 분쟁 장기화 영향으로 지난 달 25일 런던금속거래소(LME)의 알루미늄 가격은 톤당 3천355불로 지난 2008년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4일 ‘對러 수출통제‧금융제재 등 관련 기관합동 지원방안 긴급 설명회’를 통해 ‘백금·알루미늄 등 수급리스크가 큰 원자재를 수입보험 지원 가능 품목으로 지정하고, 금융지원 한도도 최대 1.5배까지 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카드뉴스] 바닷물에 녹는 플라스틱?…산업부 "국내 실증화 첫 성공"

자그마치 500년. 환경오염의 주범 중 하나인 플라스틱 폐기물이 자연으로 돌아가는 데 걸리는 시간이라고 합니다. 환경부 자료에 따르면 한국의 플라스틱 배출량은 세계3위로 1인당 연간 배출량은 88kg에 달한다고 하는데요. 석유에서 추출한 원료를 결합해 만든 기존의 플라스틱은 저렴한 가격과

[카드뉴스]높은 광물 의존도…국내에선 리튬·티타늄 광맥 발견

탄소중립을 비롯해 주요 산업의 변화, 공급망 리스크 등으로 어느 때보다 자원 안보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여러 자원 가운데서도 핵심광물의 중요도 또한 높아지고 있습니다. 전기차 배터리를 비롯해 태양광·풍력, 우주·항공산업 등 주요 산업에 리튬, 희토류, 텅스텐 등의 광물이 핵

[카드뉴스]올해 금융업계 디지털 전환 트렌드는?

최근 금융업계는 디지털 전환기를 통해 금융 생태계가 변화하고 있는데요. 업계 간 치열한 경쟁 속에서 살아남기 위해선 빠르게 변화하는 트렌드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하나금융연구소의 ‘2023년 은행 디지털 전환 트렌드’에 따르면, 많은 금융기관들이 디지털 기술에 대한 투자와 고객경험

[카드뉴스] 원자재 가격 전년 대비 큰 폭 상승···공급망 악재 지속 전망

최근 코로나19가 엔데믹으로 전환되고 시장이 활성화되면서, 원자재 수요가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그러나,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간 지정학적 분쟁으로 인해 공급망에 제약이 걸리며, 원자재 가격이 상승하고 있는데요. 특히 러시아 및 우크라이나에서 주로 생산되는 에너지, 비료,

[카드뉴스] 방역규제 완화, 코로나19 엔데믹 전환 수순 밟나

정부가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을 엔데믹(Endemic, 풍토병)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추진하면서, 방역규제를 점차 완화하고 있는데요. 이로 인해 각 업계가 활기를 되찾는 모습입니다. 사회적 거리두기가 완화되면서, 전국 사업장은 24시 영업이 가능하게 됐습니다. 이에 많은 소상공인들이 한 숨 돌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