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시대, 곁에 ‘좋은 리더’가 있나요?
직장인들, 이상적 리더 유형 ‘덕장’, ‘맹장’, ‘지장’ 순
이슈기획 | 신수정 기자 | 입력 : 2020.12.05

직장인들은 코로나19가 장기화 하면서 리더의 소통 및 위기관리 능력이 중요하다는 생각을 하고 있다. 책임감, 신뢰, 소통능력, 실무능력까지 요구하고 있다.
시장조사전문기업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가 전국 만 19세~59세 직장인 남녀 1천 명을 대상으로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리더십’ 관련 인식 조사를 실시한 결과, 코로나의 확산 속에 조직 내 ‘리더’의 역량이 중요하다는 것을 체감하는 직장인들이 많아졌다.
포스트코로나 시대에는 리더의 역할이 더욱 강조될 것이라는 인식이 뚜렷했다.
직장인들이 가장 이상적이라고 생각하는 리더의 유형은 ‘덕장’(63.7%, 중복응답)이라는 답했다. 덕을 가지고 있고 부하 직원을 통솔하는 능력이 뛰어난 리더가 요즘 시대에 가장 필요하다는 것이다. 다음으로 맹장(55.1%)과 지장(49.9%) 순으로 이상적이라고 했다.
반면 운에 기대는 운장(8.2%)과 용감하게 싸우는 용장(6.8%)은 큰 호감을 얻지 못했다. 한 조직의 리더라면 응당 여러 가지 자질들을 갖춰야만 하는데,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자질로는 책임감(53.6%, 중복응답)이 꼽혔다.
신뢰도(49.4%)와 소통능력(48.5%), 실무능력(48.4%)의 중요성도 많이 강조했다. 기본적으로 일과 조직에 대한 책임감, 구성원에 믿음, 원활한 소통과 함께, 일의 전문성까지 갖춘 리더만이 진정한 리더로서 구성원들에게 존경을 받는다는 점이다. 리더라면 리스크 관리 능력(26.9%)과 포용력(26.5%), 갈등 조정 역량(23.2%)을 갖춰야 한다고 했다.
조직 내에서 ‘리더십’이 필요한 상황으로는 중요한 사안에 대해 결단을 내려야 할 때(65.7%, 중복응답)다. 리더만이 갖고 있는 ‘의사결정권자’로서의 역할을 강조했다. 조직 내부의 관계를 조화롭게 해야 하는 상황(49.8%)과 조직의 성과를 이뤄야 하는 상황(46.3%), 조직 내부의 위기 상황(44.8%)에서 리더의 역할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많았다.
실제 전체 응답자의 83.5%가 리더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부서 및 팀 구성원을 잘 관리하는 것이라는 주장에 공감하는 분위기다. 리더에게는 개인의 성과보다는 부서 및 팀의 성과가 중요하다고 바라보는 직장인도 10명 중 7명(71.4%)에 달했다. 좋은 리더라면 자신이 맡고 있는 업무에서 실무의 비율을 낮출 필요가 있고(47%), 중요한 업무야말로 부하 직원에게 맡겨야 한다(38.6%)는 생각도 적지 않았다.

좋은 리더를 만나면 회사생활 더 열심히
조직의 리더가 보유한 역량은 여러 측면에서 부서원과 팀원 등 조직 구성원들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평가가 많았다. 직장인의 74.9%가 리더의 역량이 전반적인 회사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준다는데 동의한 것으로, 무엇보다도 부서 및 팀 분위기(80.8%, 동의율)와 개인의 업무 능력 향상(78%)에 끼치는 리더의 영향력을 높게 평가했다.
근속 및 이직에 대한 생각(70.2%)과 조직에 대한 충성도(65.8%), 회사에 대한 로열티(56.4%)에 영향을 준다고 생각하는 직장인들도 상당했다. 직장인들에게는 ‘좋은 리더’를 만나는 것만큼 직장생활에서 중요한 것은 없다는 생각도 충분히 할 수 있다.
전체 응답자의 87.1%가 좋은 리더를 만나면 회사생활을 더 열심히 할 수 있다고 했다. '솔선수범'하는 리더는 자연히 주위 사람들이 따를 수밖에 없다고 평가(81.2%)했다. 좋은 리더를 만나면 남들보다 회사에서의 성장 기회를 더 얻을 수 있고(86.6%), 다른 입사 동기들보다 회사에서 두각을 빨리 드러낼 수 있다(78.7%)는 것이 대부분 직장인들의 공통적 의견이다.
하지만 좋은 리더를 만나는 것은 생각보다 더 훨씬 어려운 일이다. 직장인의 84.3%가 직장생활을 하면서 정말 믿고 의지할 만한 리더를 만나기는 쉽지 않은 것 같다고 응답했다. 그만큼 직장생활에서 좋은 리더를 만나본 경험이 많지 않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현재 직장생활을 하면서 존경하거나 따르는 대상이 있는가라는 물음에도 '없다'고 말하는 직장인이 더 많은 비중(없음 48.8%, 있음 38.7%)을 차지했다. 10명 중 6명(58.2%)은 요즘 부하직원들의 진짜 이직 및 퇴직 이유에는 ‘상사와의 관계’가 핵심인 경우가 많다고 바라봤다.

좋은 리더를 만나는 것은 어쩌면 직장인들에게 큰 ‘행운’이다.
리더의 역량은 ‘나이’와 ‘직급’과는 무관하다는 인식이 강했다. 나이가 많다고 다 리더인 것은 아니고(85.7%), 직급이 높다고 다 리더인 것은 아니다(81.4%)라는 직장인들이 대다수다.
리더, 무엇보다 리스크 관리 중요
코로나19 확산 이후 리더의 ‘위기관리 능력’이 시험대에 올랐다. 전체 응답자의 73.9%가 리더에게는 무엇보다 리스크 관리가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됐다고 답했다.
리더는 커뮤니케이션 능력도 요구된다. 소통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직장인이 많다.
포스트코로나 시대 리더 역할 더 중요해질 것
‘포스트코로나 시대’에는 리더의 역할이 더욱 강조될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직장인의 68.7%가 코로나19 이후의 시대에는 리더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질 것 같다고 내다봤다.
포스트코로나 시대에는 개별 부서 및 팀 리더의 역량에 따라 조직의 성패가 좌우되는 비중이 더 커지고, 중요한 사안에 대해서는 리더의 결정에 따르는 태도가 더욱 강해질 것 같다(52.9%)고 예상하는 직장인들이 많았다.
포스트코로나 시대 가장 중요한 리더 자질은 '소통틍력'
리더는 ‘포용력’을 갖춰야 한다고 생각하는 직장인들이 많은 것도 주목해볼 부분이었다. 전체 10명 중 8명(80.6%)이 향후 포용력 있는 리더십이 중요해질 것이라고 바라봤으며, 구성원 개개인을 아우를 수 있는 리더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질 것이라는 의견도 78.1%에 달했다.
포용력 있는 리더십이 새삼스럽게 강조되는 이유는 사회전반적으로 변화가 뚜렷해지고, 소통의 필요성이 중요해진 것과 관련이 깊다는 점이다.
비대면 근무가 일상화되면 부서 소통을 원활하게 하는 것이 리더의 가장 중요한 역랑이고(79.9%), 직장 내 세대차이를 극복하는 것이 리더에게 중요한 역할이라고(78.4%) 생각하는 직장인들이 많았았다. 이러한 역할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무엇보다 ‘소통능력’을 바탕으로 한 ‘포용력’이기 때문이다. 실제 직장인들이 포스트코로나 시대에 가장 중요하게 여겨질 리더의 자질과 능력으로 꼽는 것도 소통능력(50.7%, 중복응답)이었다.
물론 책임감(42.1%)과 리스크 관리 능력(41.1%), 실무능력(38.8%), 신뢰도(37.5%) 역시 리더의 중요한 자질로 여겨졌으나, 기본적으로는 소통능력이 뒷받침돼야 한다는 인식이 강한 것이다. 앞으로는 권위적인 리더십보다 ‘수평적인 리더십’이 더욱 중요해질 것이라는 예상(83.7%)이 많은 것도 비슷한 맥락에서 살펴볼 수 있었다. 반면 향후 강력한 카리스마를 갖춘 리더십이 각광받게 될 것이라는 의견(44.7%)은 상대적으로 적었으며, 앞으로 조직 내 위계질서가 더욱 강조될 것이라는 목소리(23.2%)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저작권자(c)산업종합저널.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많이 본 뉴스
-
[CES 2021] 헬스케어 분야, 실생활 도구로 실시간 건강 돌본다!
미국소비자기술협회(CTA : Consumer Technology)가 주관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가전제품박람회인 CES(International Consumer Electronics Show) 2021이 이달 11일(미국시간 기준)부터 14일까지 개최 중이다. 이번 전시회는 1967년 개최 이후 최초로 100% 디지털 방식으로 개최된 전시회로 그 의미가 크다.
-
[산업지식퀴즈] 언택트(Untact)기술이 적용된 이 시스템은 무엇일까요?
코로나19로 인해 최근 사회적거리두기가 장기화됨에 따라 '언택트(Untact)'라는 단어를 많이 듣게 됩니다. 이는 사람과 사람과의 대면접촉이 아닌 '비대면 접촉'을 말하는데요. 산업분야나 일상 생활 속 외에도 다양한 부문에 이런 언택트 관련 기술이 활용되고 있고, 분야도 확대되고 있습니다.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불안감이 바꿔 놓은 우리들의 일상생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감염증 여파가 국내 산업은 물론 라이프까지 바꿔놓았다. 서울에서 제주로 가는 비행기 편도 티켓 가격이 3천 원까지 폭락했다. 3천 원 티켓과 3천500원, 7천900원, 9천500원 등 만 원 이하 편도 티켓도 등장했다. 가장 제주를 많이 찾는 금요일 티켓의 경
-
포스트 코로나, 디지털 워크플레이스로 새로운 오피스 문화 정착할까
소비를 비롯해 각종 업무, 소통 등 다양한 부분에서 비대면(Untact, 언택트) 산업이 활성화되고 있다. 비대면 산업은 ICT 기술 등 4차 산업혁명의 흐름에 따라 차츰 발전하고 있었지만,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이하 코로나19)의 팬데믹 현상이 기폭제가 돼 더욱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
[산업지식퀴즈]4월 3주차 문제
이 기계는 열(熱)가소성의 플라스틱 수지를 가열해서 녹여 높은 압력으로 일정한 금형틀에 넣어 제품을 만드는 기계입니다. 이 기계의 원리는 플라스틱 원료를 실린더를 통해 노즐로 보내고 이 원료가 녹아 상하판으로 이뤄진 금형 틀안으로 주입된 후 냉각돼 제품이 만들어집니다. 그 다음
가상화폐 시세


추천제품
1/8
-
[신품] 바이스트로닉 5.2kw
-
[신품] 소형탭핑머신, 오토매틱탭핑기계. 탭핑머신, 탭핑기, 탭핑기계 협의
-
[신품] 어두워도 선명한 산업 전후방카메라
-
[신품] 팽창흑연가스켓 yJ40-GK
-
[신품] 전기마루광택기 거산산업
-
[중고] 현대3.5톤 디젤지게차 중고 건설기계 전문
-
[신품] 국내정상 랙가공전문 30여년의 전문화된 기술력
-
[신품] 모듈러앵글헤드 TOOL 6파이 ~ 32파이용
-
[신품] 음식물처리기 JDW-600G
-
[신품] 슬라이딩도어,전동슬라이딩도어,전동슬라이딩양개도어 협의
-
[신품] 레이저용접기,클리닝 레이저 마킹기
-
[신품] 산업기계용조인트 조인트제작,수리,개조전문
-
[신품] 측정운반차 GO-100
-
[신품] 대성썬빅 대용량온수기 신원에너지
-
[신품] 피로방지매트 600*900MM 근골격계질환 예방
-
[신품] 무세제세척기, 세척기, 이온수 (eWASH)생성기